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1;22(12):1823-1837.
Published online December 1, 2001.
Social and behavioral predictors of cervical cancer screening practices among korean women.
Ho Cheol Shin
Deparunent of Family Medicine,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Korea.
자궁경부암 선별검사 수검의 사회인구학적 및 행동학적 예측 인자
신호철
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 가정의학과
Abstract
Background
: Early detection is the most effective strategy for reducing mortality by cervical cancer among women. Many factors associated with attendance for cervical smear test have been reported.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extent of cervical cancer screening practices among women in Seoul, Korea and to identify the soci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these activites. We also want to identify the reason for not participating in cervical cancer screening among Korean women.

Methods : This study was cross-sectional study. From April, 1995 to August, 1995 a sample of 738 women were surveyed by direct interview at family practice clinic. They were all first encountered patients over 18 years old and were asked question about attendance for cervical cancer screening, utilization of other women cancer screening methods, certain social and behavioral factors. Data were analyzed with χ2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using SAS 6.12, and EGRET program.

Results : Approximately 54.1% of the women had had a Papanicolaou(Pap) smear test once or more and 48.2% of them had had it regularly. The most frequent reason given for non-attendance for Pap smear test was "Not necessary at my age"(50.3%) among women in the twenties, was "Never thought about Pap smear test" among women in the thirties and forties. The prevalence of women undergoing a Pap smear test regularly once in a year was 20.5% of analyzed population and was higher among those women who were married(OR=15.1, 95% CI 3.1-73.2, p<0.01), who had higher family income(OR=7.3, 95% CI 2.4-22.2, p<0.01), who had last Pap smear test in the last year(OR=18.2, 95% CI 7.0-47.2, p<0.01), who had mammography regularly (OR=9.2, 95% CI 2.0-42.3, p<0.01), who had hepatitis B vaccination(OR=4.7 95% CI 2.0-11.2, p<0.01).

Conclusion :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predictive factors of utilization of Pap smear test among study population, even though this study was not national survey, were similar to hose factors reported by other researches. We recognized that women who were poor, who had not spouse, who had a Pap smear test more than 1 year ago, and who had not mammography regularly had lower prevalence of undergoing Pap smear test regularly once in a year. These factors could, especially as barriers, affect the utilization of Pap smear test as an effective method for early detection of cervical cancer. So, family physicians must consider these factors. These results may be useful in planning screening strategies and educational programs to improve attendance in primary care field.
초록
연구배경 : 일차의료영역에서 암 선별검사를 통한 질병의 조기 발견 및 예방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고 동시에 가정의학과 의사들의 주요 임무 중의 한가지라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암 선별 검사의 수검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요인들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저자들은 본 연구를 통하여 가정의학과 외래를 방문하는 여성 환자들을 대상으로 국내 여성들에서 가장 흔한 여성 암인자궁경부암 선별검사 수검율을 파악하고 아울러 자궁경부암 선별검사 수검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인구학적 요인과 행동학적 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방법 : 1995년 4월부터 8월까지 4개월간 서울특별시 소재의 일개 대학병원 가정의학과를 방문한 여성 초진 환자 중 본 연구에 참여하기를 동의한 738명을 연구 대상으로 했다. 미리 준비된 4쪽의 설문지를 이용하여 훈련된 간호사가 직접 면접 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에는 연구 대상의 각종 인구사회학적 요인, 건강관련 생활 습관, 유방암 선별검사의 수검 양상 등에 대한 내용들이 포함되었다. 그리고 수집된 자료의 분석 및 분석된 결과의 유의성 검정을 위해서 단변수 분석에는 chi-square 분석, 다변량 분석에는 logistic regression 분석 방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 면접을 실시한 738명 중 부인과 질환이 있어서 자궁경부 세포진 검사(Pap smear)를 받았던 85명을 제외한 653명이 최종 분석 대상이었다. 그 중 자궁경부암 선별검사를 위해 Pap smear 검사의 수검 경험이 있는 사람은 54.1%였으며, 20.5%가 1년 간격으로 정기적인 검사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기적으로 자궁경부암 선별검사를 받지 않는 이유로 20대의 50.3%가 “자신의 나이에는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는 반면 30대와 40대의 경우에는 각각 30.4%, 50.0%가 “정기적인 자궁암 선별검사에 대해서 생각해본 일이 없다”로 응답했다. 자궁경부암 선별검사는 기혼 여성에서 (OR=15.1, 95% CI 3.12-73.15, p<0.01), 유방 X선 촬영을 규칙적으로 하는 여성에서 (OR=9.2, 95% CI 2.02-42.27, p<0.01),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는 여성에서 (OR=1.9, 95% CI 0.87-4.29, p<0.05), B형 바이러스성 간염 예방 접종을 받은 여성에서 (OR=4.7, 95% CI 2.00-11.17, p<0.01) 수검률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직업이 없는 여성에서 (OR=0.7, 95% CI 0.30-1.60, p<0.05) 자궁 경부암 수검률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질병의 조기 발견이 중요한 역할 중의 한가지인 일차진료의로서 가정의학과 의사들은 본 연구에서 나타나듯이 여성들의 여성 암 선별검사 특히 자궁경부암 선별검사의 수검에 장애가 디는 여러 가지 이우와 각종 요인들을 고려하여 자궁경부암 선별검사 수검이 더 많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