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1;22(11):1603-1611.
Published online November 1, 2001.
The factors associated with success of smoking cessation at smoking-cessation clinic.
Cheol Hwan Kim, Hong Gwan Seo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Inje University, Korea.
금연클리닉을 방문한 흡연자의 금연 성공과 관련된 요인
김철환, 서홍관
인제의대 가정의학과교실 서울백병원
Abstract
Background
: In spite of harmfulness of smoking, the smoking rate of adult male is high in Korea and that of adolescent and women has risen recently. Most smokers try to stop smoking for themselves without doctor's help or medication, but the success rate is extremely low. Although the number of smoking-cessation clinic has risen year by year, there are few researches about smoking cessation.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successful smoking cessation and the effective smoking cessation modalities.

Methods : 114 smokers, who has visited the smoking-cessation clinic of Seoul Paik Hospital from Oct. 1998 to June 2000, were included. After doing a survey with basic questionnaire and smoking cessation counselling, we followed up them. We also checked their smoking behavior 6 months later.

Results : The success rate was 32.5%.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uccess group and failure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 factors such as age, BMI, expiratory CO level at initial visit to hospital, nicotine dependence scale, the duration using nicotine patch and the number of visit to smoking-cessation clinic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 The results of logistic regression showed that BMI and nicotine dependence scal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초록
연구배경 : 한국에서 금연클리닉을 운영하고 있는 병원이 점차 늘고 있으나, 아직 금연클리닉의 성과와 관련 요인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연구자는 금연클리닉 진료의 효과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였다.

방법 : 1998년 10월부터 2000년 6월까지 인제의대 서울백병원 가정의학과 금연클리닉에 내원한 흡연자 130명 중 교내 흡연으로 강제적으로 금연클리닉을 방문한 중학생과 추적이 불가능한 흡연자 16명을 제외한 114명을 대상자로 하였다.

결과 : 금연클리닉 방문 6개월 후까지 금연에 성공한 금연 성공군은 32.5%이었다. 금연 성공군의 평균연령은 49.8세로 금연 실패군 43.4세보다 높았다. 금연 성공군과 금연 실패군의 금연 시도 전 체질량지수(BMI)는 각각 24.9 kg/m2과 23.2 gk/㎡로 금연성공군이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높았다. 금연성공군과 금연 실패군의 금연 시도 전 호기 일산화탄소 농도는 각각 13.4 ppm와 17.5ppm, 스트레스양은 각각 8.7점과 10.8점으로 금연성공군에서 통계적으로 의미있게 낮았다. 금연 성공군과 금연 실패군 사이에 성별, 교육정도, 치료의사, 센시발 사용 여부, 과거 금연 시도 경험 여부, 음주력, 현재 질병을 앓는 지 여부, 친척 중 폐암 환자 경험 여부, 가구당 수입 등은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관련성이 없었다.

결론 : 금연성공에 영향을 미친 요인들의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를 보면 체질량지수와 니코틴 의존도만이 odds ratio가 각각 1,180, 0.772 정도에서 금연 성공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즉 체질량지수가 높을수록, 니코틴 의존도는 낮을수록 금연 성공률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