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1;22(10):1484-1493.
Published online October 1, 2001.
The prevalence of childhood obesity and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obesity in Asan city.
Hyoung Ki Kim, Dae Sun Lee, Sun Mi Yoo, Yoo Seock Cheong, Eal Whan Park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Dankook University.
아산시 어린이의 비만 유병률과 비만에 관련된 위험요인
김형기, 이대선, 유선미, 정유석, 박일환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Abstract
Background
: Recently, childhood obesity has increased and became a major health concern in Korea. The aim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prevalence of childhood obesity in rural city and to explore the risk factors of obesity including obesity of parents.

Methods : We made 13 convenience samples of elementary school and attached kindergarten located in Asan-city, ChungNam, in 2001. We surveyed children's height, weight, and risk factors of childhood with a self-recorded questionnaire answered by parents. Children's obesity was evaluated by ideal body weight which is defined as the 50th percentile of weight for Korean children of the same height and sex in 1998. The criteria of parents' obesity was over 25of BMI.

Results : The subjects were 1,558 children among 1870 respondents. The prevalence of childhood obesity was 9.4% and that of male children was 11.0% and that of female children was 7.9%. The older in both male and female, the higher the obesity prevalence was. Mother's age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obese children. Birth weight and family income were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obese children. Birth weight and family income were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obese children. There was a higher family history of obesity in obese children.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childhood obesity were gender, age of child, mother's age, birth weight, number of siblings, family income, and family history of obesity.

Conclusion : The prevalence of childhood obesity in Asan-city was 9.4%. Children whose father, mother, or parents were obese tended to be obese.
초록
연구배경 : 최근 소아비만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중요한 건강문제로 인식되고 있으며, 비만의 효과적인 예방과 관리를 위해 소아만 관리는 중요하다. 지방 중소도시에서 소아비만의 유병률을 조사하고, 부모의 비만도를 비롯한 비만의 위험요인을 조사하여 비만 관리 및 예방에 도움이 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2001년 충청남도 아산시 초등학교 및 병설 유치원 13개를 편의표본추출하여 설문지를 통해 아동의 신장과 체중을 조사하였다. 비만 위험요인은 학생들의 부모로부터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하였다. 아동의 비만도는 1998년 대한 소아과학회의 성별 신장별 체중 50백분위수를 기준으로 한 표준체중법으로 산출하였고, 부모의 비만도는 체질량지수를 기준으로 산출하였다.

결과 : 설문지에 응답한 1,870명중에서 분석이 가능한 1,55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비만 아동의 전체 유병률은 9.4%였고 남아에서 11.0%(83/757), 여아에서 7.9%(63/801)였다. 남아, 여아 모두 나이가 증가할수롤 수록 비만 유병률이 증가하였다. 소아 비만군에서 정상 체중군에 비해 어머니의 나이가 유의하게 많았으며 출생시 체중과 가족내 월수입 또한 소아 비만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 아동의 운동시간, TV시청시간, 형제 수는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비만의 가족력이 정상 체중군에 비해 소아 비만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 아산시 초등학생 및 유치원생에서 비만 유병률은 9.4%였고, 남아에서 그리고 나이가 증가할수록 비만 유병률이 높았다. 아버지, 어머니 또는 부모가 모두 비만한 경우 어린이가 비만할 위험이 높았다. 회귀분석에서 소아 비만의 위험요인은 어린이의 성별, 나이, 어머니의 나이, 출생시, 체중, 형제 수, 비만의 가족력, 가족내 수입이었다.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