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mparision of the quality of life between the well controlled hypertension group and the uncontrolled hypertension group. |
Young Mook Kim, Hyun Rim Choi, Do Young Park, Jong Bum Lim, Chang Won Won, Byung Sung Kim, Yong Woo Park |
1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2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조절되는 고혈압 환자와 조절되지 않은 고혈압환자의 삶의 질 비교 |
김영묵, 최현림, 박도영, 임종범, 원장원, 김병성, 박용우 |
1 2 |
|
|
Abstract |
Background : Hypertension is an important as well as common disease in primary practice, so family physicians should concern about it. It is well known that if hypertension were well controlled, it could lower cardiovascular complications.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on the impact of hypertension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Therefore, we carried out this study to compare the quality of life in the hypertensive patients by whether it is well controlled or not.
Methods : The authors surveyed the quality of life using the questionnaire named as CMC Health Survey Version 1.0 for the hypertensive patients. The subjects had no complications and no other diseases, and aged 40 or more, and visited doctors at the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Hospital or th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ungmin Hospital from May 1 to Aug 31, 1998. We categorized the subjects into the two groups of the well-controlled group(SBP<140mmHg and DBP<90 mmHg) and the uncontrolled group(SBP≥140mmHg or DBP ≥ 90mmHg) and compared the quality of life and lifestyle.
Results : The total number of subjects was 119, that of well-controlled group was 69, and that of the uncontrolled group was 50. Mean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was 133.1±7.5mmHg and 85.3±5.2 mmHg in the well-controlled group, 159.2±7.4 mmHg and 100.2±5.5 mmHg in the uncontrolled group. The comparison of the distribution of age, sex, education, occupation, and monthly income between the two groups showed no difference. The comparision of the lifestyle between two groups by Alameda-7 questionnaire showed no difference, too. As for the comparison of quality of life between two groups, the well-controlled group ha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the domain of physical function, social function, general health, vitality(above P<0.01), emotional function, role limitation, and health perception(above P<0.05) than uncontrolled group. However, the scores of the domain of change in health, satisfaction, bodily pai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After covariated by obesity, the comparison of quality of life between two groups showed similar results.
Conclusion : We confirmed that the well-controlled group had better quality of life than the uncontrolled group. So family physicians should consider the quality of life when they consult the patients with hypertension. |
초록 |
연구배경 : 고혈압은 일차의료에서 흔하고 중요한 질환으로 가정의들의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한 질병이다. 고혈압 조절이 심혈관계 질환의 합병증을 낮춘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나 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는 고혈압 조절 여부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의 차이를 살펴볼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방법 : 1998년 5월부터 1998년 8월까지 일개 대학병원 가정의학과와 인천소재 종합병원 내과 등을 내원한 40세 이상의 고혈압 환자 중 합병증이나 다른 질환이 없는 환자를 대상으로 삶의 질에 대한 설문조사(CMC Health Survey Version 1.0)를 시행했다. 설문에 응답한 환자 중 수축기 혈압과 확장기 혈압을 기준으로 혈압 조절군(수축기 혈압 <140 mmHg 그리고 확장기 혈압 < 90 mmHg)과 혈압 비조절군(수축기 혈압 ≥140 mmHg 혹은 확장기 혈압 ≥90 mmHg)으로 나누어 건강관련 삶의 질과 생활습관을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 연구대상은 총 119명으로 이중 혈압조절군은 69명이었고 비조절군은 50명이었다. 조절군의 수축기와 확장기 혈압의 평균은 각각 133.1±7.5 mmHg, 85.3±5.2 mmHg였고 비조절군은 159.2±7.4 mmHg, 100.2±5.5 mmHg이었다. 두 군 사이의 성별, 연령, 결혼유무, 교육, 직업, 월수입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Alameda 7을 이용하여 두 군 사이의 생활습관을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건강관련 삶의 질을 비교한 결과 조절군이 비조절군에 비해 신체적 기능, 사회적 기능, 전반적 건강, 활력(이상 P<0.01), 정서적 기능, 역할의 제한, 현재의 건강상태에 대한 인식(이상 P<0.05)항목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 건강상태의 변화, 건강상태에 대한 만족도, 신체통증 항목에서는 두 군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생활습관 중 두 군 사이에서 차이를 보인 비만도를 보정하고 두 군 사이의 삶의 질을 비교한 결과 비만도를 보정하기 전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결론 : 고혈압 환자에서 혈압을 낮은 수준으로 조절하면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볼 때 일차의료를 담당하며 환자에게 포괄적인 의료를 제공하는 가정의는 삶의 질에 대한 평가를 고혈압 환자 진료과정에 포함시키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