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3;24(9):819-826.
Published online September 10, 2003.
Association between Type and Amount of Exercise with Bone Mineral Density in Adult Women.
Taek Soo Shin, Eun Ju Sung, Bong Yul Huh, Taiwoo Yoo
1Seoul Family Medicine Clinic, Korea.
2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Kangbuk Samsung Hospital,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Korea. green@medimail.co.kr
3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Korea.
성인여성에서 운동의 유형 및 운동량과 골밀도의 연관성
신택수,성은주,허봉렬,유태우
1
2
3
Abstract
Background
: Although lack of exercise is well known to be a risk factor of osteoporosis, it is unclear whether weight-bearing exercise has different effects on bone mineral density compared to non weight-bearing exercise, and the amount of exercise needed to prevent osteoporosis is not clearly define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larify the relations between the type and the amount of exercise with BMD.

Methods : This was a cross-sectional study of 3,661 women who had undertaken health screening including BMD measurement at Health Promotion Center of SNUH between May 1997 and March 1999. Information on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menarche, childbirth andexercise were gathered by means of self-reported questionnaire, and BMD was measured using DEXA.

Results : The number of women with lumbar osteoporosis were 601 (16.4%) and femoral neck osteoporosis 372 (10.2%). Lumbar osteoporosis occurred more frequently with increasing age and age at menarche, and in menopausal women, but less frequently with increasing fat-free mass i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hen adjusted for age, age at menarche, menopause and fat-free mass, lumbar osteoporosis was less common in women who exercised, but the type and the amount of exercise had no bearing. Especially, lumbar osteoporosis was least common in women engaging in moderate amount of exercise. Femoral neck osteoporosis decreased significantly only in weight-bearing exercise group and in women engaging in high amount of exercise.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lumbar osteoporosis can be prevented through exercise regardless of its type and amount, and high amount or weight- bearing exercise is most effective to prevent femoral neck osteoporosis.
Key Words: osteoporosis, BMD, risk factors, body composition, exercise
초록
연구배경 : 운동 부족이 골다공증의 위험요인이라는 것은 여러 연구에서 제시되었지만, 체중부하 여부와 운동량이 골밀도와 어떠한 관련을 갖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분명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성인 여성에서 운동의 유형과 운동량이 골밀도와 어떤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 1997년 5월부터 1999년 3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건강증진센터를 방문한 여성 4,201명의 여성 중에서 골밀도검사를 받은 26세부터 70세의 여성 중에서 운동력에 대한 설문에 답하지 않은 여성과 골밀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질환을 가진 여성을 제외한 후 총 3,661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단면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인 특성과 월경, 출산, 흡연, 운동에 대한 정보는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통해서 얻었으며, 골밀도는 DEXA를 이용하여 요추와 대퇴경부에서 측정하였다. 운동의 유형 및 운동량에 따른 요추 및 대퇴 경부의 골다공증의 교차비를 구하기 위해 로짓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전체 여성 중 요추의 골다공증은 601명(16.4%)에서 보였고 대퇴경부의 골다공증은 372명(10.2%)이었다. 로짓회귀분석에서 연령이 증가할수록, 초경연령이 높은 군에서, 폐경 여성에서 요추골다공증이 많이 발생하였으며, 제지방량이 증가할수록 골다공증이 적게 발생하였다. 요추의 골다공증은 모든 운동군에서 적게 발생하였으며 운동의 유형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특히 운동으로 인한 일일 에너지 소비량이 2∼4 Kcal/Kg인 중등도 운동량 군에서 요추 골다공증이 가장 적게 발생하였다. 대퇴경부의 골다공증은 체중부하 운동군에서만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운동으로 인한 일일 에너지 소비량이 4 Kcal/Kg 이상인 고운동량군에서만 대퇴경부의 골다공증이 유의하게 적게 발생하였다.

결론 : 요추 골다공증은 운동의 유형 및 운동량과 관계없이 운동군에서 적게 발생하며, 대퇴경부 골다공증은 하루 4 Kcal/Kg 이상의 에너지를 소비하는 고운동량군과 체중부하 운동군에서 적게 발생함을 시사하는 것으로서, 이는 골다공증을 예방하기 위한 실질적인 운동처방 지침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중심 단어: 골다공증, 골밀도, 위험요인, 신체구성요소, 운동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