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0;21(10):1307-1316.
Published online October 1, 2000.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HBV markers in chronic HBsAg carrier: Titers of HBsAg, and HBeAg, and presence or absence of HBeAg and HBV-DNA.
Mi Kyeong Oh, Dong Jin Lee, Joo Hyun Han, Kung Soo Chon, Jong Sung Kim, Kung Suk Won
임상적 간상태와 HBsAg , HBeAg 역가 및 HBeAg , HBV - DNA 양성률과의 관계
오미경, 김종성, 한주현, 이동진, 천경수, 원경숙
울산의과대학 아산재단 강릉병원 가정의학과,백의학과,충남대학교 가정의학과
Abstract
Background
: All individuals chronically positive for HBsAg are not always complicated by advanced liver diseases and have various differences in their clinical progression. In an attempt to find out the factors determining clinical progression, comparative analysis was made among four groups (asymptomatic, chronic hepatitis, liver cirrhosis and hepatocellular group) according to the titers of HBeAg and HBeAg,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HBeAg and HBV-DNA.

Methods : This study included 198 males and 96 females who visited Asan foundation Kangnung Hospital from Sep. 1, 1996 to May 31, 1998 and the subjects were HBsAg-positive for at least six months. They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on the basis of their worst results after CBC, LFT, and abdominal ultrasonography carried out on two occasions at least at three-month intervals. For confirmation of hepatoma abdominal CT and hepatic angiography were performed. Among the four groups compared were the mean titers of HBsAg and HBeAg, and positive rate of HBeAg and HBV-DNA.

Results : A total of 294 subjects was diagnosed as having no symptoms in 169(57%), chronic hepatitis in 71 (24.1%), liver cirrhosis in 41 (13.9%), and hepatoma in 13 subjects (4.4%). The more advanced in age (p<0.01) and sexual preference of males (p<0.05) we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worse liver conditions. The Asymptomatic Group showed lower titers of HBsAg (p<0.01) and HBV-DNA (p<0.01). In the case of subjects without HBeAg, the presence of HBV-DNA was significantly linked to chronic hepatitis and liver cirrhosis (p<0.01). Based on age by multiple regression, the group of less than 29 years of age had higher titer of HBeAg as determinant factor for clinical progression, 30-39 years of age the presence of HBV-DNA, 40-49 years of age the presence of HBeAg, the presence of HBeAg and male, the group of more than 50 years of age had higher titers of HBeAg, the presence of HBV-DNA, and higher titers of HBsAg.

Conclusion : The present study revealed that clinical progression depended upon the titers of HBsAg and HBeAg,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HBeAg and HBV-NDA in the same age group, and sexual preference for males as well as older age counted for clinical worsening of chronic HBsAg-positive subjects.
초록
연구배경 : B형 바이러스 간염의 만성 보유는 만성 간염, 간경변증, 간암으로 진행시킬 수 있는 위험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보유자 모두가 만성 간질환, 간암으로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개인에 따라 다양한 임상 경과를 보이고 있다. 이에 저자는 B형 간염 만성 보유자일 때 임상적 경과나 예후를 결정하는 인자가 무엇인가 알아보는 일환으로 간의 상태를 임상적으로 무증상군, 만성 간염군, 간경변증군, 간암군으로 세분한 다음, 그들이 갖고 있는 HBsAg, HBeAg 역가 및 HBeAg, HBV-DNA 양성률을 비교 분석하였다.

방법 : 1996년 9월 1일부터 1998년 5월 31일까지 강릉소재 가정의학과 외래에 내원 환자 중 B형 간염이 6년 이상 양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3개월 이상 간격으로 최소 2회 이상의 말초 혈액 검사와 간 기능 검사, 복부 초음파를 시행한 후, 임상적으로 가장 악화되었을 때를 기준으로 하여 무증상군, 만성 간염군, 간경변증군, 간암군으로 세분하였다. 간암군은 복부 컴퓨터 단층 촬영, 간동맥 조영술을 통해 확진 하였다. HBsAg, HBeAg는 방사선 동위원소 방법으로, HBV-DNA은 Dot blot hyprization법을 이용한 DNA probe 혹은 중합 효소 연쇄 반응법으로 측정하여 임상적 간상태의 4군과의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결과 : 임상적 간상태는 무증상군이 169명(57.5%), 만성 간염군이 71명(24.1%), 간경변증군이 41명(13.9%), 간암군이 13명(4.4%)으로 나타났으며, 연령별로 나이가 들수록, 여자보다 남자가 간의 상태가 나쁜 것으로 나타났고(p<0.05), 무증상군일 수록 HBsAg, (p<0.05)의 역가는 낮았으며 HBeAg, HBV-DNA의 양성률이 낮게 나타났다(p<0.05). HBeAg 음성군에 있어서 HBV-DNA 양성군일수록 무증상군보다 만성간염군, 간경변증군이 많았다(p<0.01). 각 연령군에 있어서 성별, HBeAg 양성유무, HBV-DNA 양성 유무, HBsAg의 역가, HBeAg 역가 등에 따른 임상적 간의 상태를 다중 회귀 분석하였을 때, 30대이하 군에 있어서는 HBeAg 역가가 높을수록, 30대군은 HBV-DNA 양성일수록, 40대군은 HBeAg가 양성일수록, 남자일수록, 50세이상군은 HBeAg 역가가 높을수록, HBV-DNA 양성일수록, HBsAg 역가가 높을수록 임상적간의 상태는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만성 B형 간염 바이러스 보유자는 연령, 성뿐만 아니라 같은 연령군에서도 HBsAg, HBeAg의 역가, 및 HBeAg, HBV-DNA 양성 유무에 따라 임상적 경과가 다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HBeAg이 음성인 경우 HBV-DNA가 양성이면 임상적으로 나쁜 경과를 보일 수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TOOLS
Share :
Facebook Twitter Linked In Google+ Line it
METRICS Graph View
  • 861 View
  • 11 Download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