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0;21(3):395-405.
Published online March 1, 2000.
Waist circumference as a screening tool for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Korea: Evaluation of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ROC).
Keum Mi Lee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Medical Center, Koera.
심혈관질환 위험인자의 선별검사로서의 허리둘레 : RCC curve 를 이용하여
이근미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과
Abstract
Background
: Epidemiologic studies indicate that the central fat distribution rather than obesity itself may be an independent predi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 and metabolic disord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ignificance of waist circumference as index of central obesity and to investigate waist circumference as a measure for increased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in Korean adults using the ROC curve.

Methods : Four hundred seventy six subjects (339 men and 137 women) were included for this study. Subjects were selected among patients who visited the Health Promotion Center of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for general health evaluation from January to June 1999. Self-reported questionnaire of socioeconomic, health and lifestyle were recorded followed by measurement of higher, weight, waist and hip circumference, percent body fat, blood pressure, blood chemistry. We analysed best cut-off point of waist circumference for those with highest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cardiovascular risk factors using the ROC curve.

Results : Waist circumference was related with blood pressure, total cholesterol, HDL and LDL cholesterol, triglyceride, but not with glucose in men. In women, waist circumference was related with blood pressure, glucose,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but not with HDL and LDL cholesterol.
Waist circumference at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seems different in Koreans compared to those of Caucasians. ROC curves showed that 84cm in men(sensitivity and specificity were 66.4% and 58.7%) and 78cm (Sensitivity and specificity were 78.3% and 53.4%) in women were useful in identifying those with at least one risk factors. There were some differences according to disease, age, smoking state, and alcohol intake. Cut-off point of waist circumference with at least one risk factor was about 3cm higher in age over 45years men, age over 55 years or postmenopausal women, smoker, and alcoholics

Conclusion : Measurement of waist circumference 84cm in men and 78cm in women could be adopted as a simple index for health promotion, to alert those at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as a guide to risk avoidance by self-weight management in Korea.
초록
연구배경 : 복부 미만이 질병의 이환율 및 사망률을 높이는 독립적 위험인자로 밝혀짐에 따라 복부비만을 평가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소개되어져 왔다. 여기서는 우리나라 성인에서 복부비만지표로서 허리둘레를 측정하여 심혈관질환 위험요인과의 관련성을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 사람들에서 심혈관계 위험이 증가하는 허리둘레의 기준치를 ROC curve를 이용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 1999년 1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영남대학교의료원에서 종합건강진단을 받은 20-60세의 성인 476명(남자 339명, 여자 137명)을 대상으로 하여 기초문진, 신체 계측 및 체지방의 측정, 혈압측정 및 임상 검사를 시행하였다.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ROC) curve를 이용하여 고혈압, 고혈당, 고지혈증과 같은 심혈관계 위험인자에 대한 민감도와 특이도가 가장 높은 허리둘레의 임계점을 알아보았다.

결과 : 남자의 경우 허리둘레는 혈당치를 제외한 모든 심혈관 위험인자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여자의 경우 허리둘레는 고밀도지단백과 저밀도지단백을 제외한 모든 심혈관 위험인자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우리나라에서 심혈관계질환의 위험이 증가하는 허리둘레의 임계점은 서구의 결과와는 차이가 있었다.
우리나라 성인 남자의 경우 허리둘레가 84cm이상(이때의 민감도는 66.4%, 특이도는 58.7%), 여자의 경우 허리둘레가 78cm이상(이때의 민감도는 78.3%, 특이도는 53.4%)인 경우에 고혈압, 고혈당, 고지혈증중에 어느 한가지 이상이 동반될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는 질환별, 연령별, 음주 여부, 흡연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45세 이상의 남자, 55세 이상 혹은 폐경기 이후의 여자, 흡연자, 음주자에서 이러한 심혈관계의 위험이 증가하는 허리둘레의 임계점이 3cm 정도 높게 나타났다.

결론 : 허리둘레의 임계점은 서구의 결과와는 차이가 있으며, 우리나라 성인 남자의 경우 84cm이상, 여자의 경우 허리둘레 78cm이상이면 심혈관계질환의 위험이 증가하므로 체질량지수와 관계없이 독립적인 위험인자로 간주하여 적극적인 체중조절을 권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또한 45세 이상의 남자나 폐경기 이후의 여성, 비흡연자, 비음주자에서는 이러한 심혈관계의 위험이 증가하는 허리둘레의 임계점을 약간 높게 잡는 것이 옳을듯하다.
TOOLS
Share :
Facebook Twitter Linked In Google+ Line it
METRICS Graph View
  • 833 View
  • 14 Download
Related article in KJFM

Clustering of cardiovascular risk factors and cornary artery disease.1998 October;19(10)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