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0;21(2):175-185.
Published online February 1, 2000.
Major health related problems among adolescents in Seoul area.
Young Eun Choi, Yun Ju Kang, Hye Rhee Lee
1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Yonsei University Medical College, Korea.
2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Seoul School Health Center, Korea.
서울지역 청소년 연령층의 주요 건강관련 문제 - 서울지역 일부 초 중 고생을 대상으로 -
최영은, 강윤주, 심재용, 이혜리
1
2
Abstract
Background
: Adolescence offers unique opportunities for investment in health and well-be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mmon physical symptoms and diseases and medical utilization rate and the prevalence of health behaviors among school-aged adolescents.

Methods : This study was carried in 1998. Subjects consisted of 3,771 adolescents (ages 10 to 18) who attended a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in Seoul and 3,246 parents.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the students and their parents to measure self-reported physical and psychosocial problems, practice of health behavior, medical care utilization rate, and the most common diagnosis.

Results : 1)Academic performance was the most common psychosocial problem for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2)The perceived health status was highest in middle school students, lowest i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3)As adolescents went to higher grades, the medical institute and dental clinic utilization rate tended to be decreased, and oriental clinic utilization rate did not change. The most common diagnosis during the past year was dental caries. The next most common diagnosis was respiratory infection. Accidents(males), headache(females) were more common in high school than middle school. 4)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symptom was fatigue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More than half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reported fatigue, dizziness, headache, dysmenorrhea, hypersomnia during the last month. 5) The higher their grade was, the less adolescents practiced behaviors. 21.9% of males and 1.9%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were smokers. 34.5% of males and 13.3% of female high school students drank alcohol on a regular bases. The prevalence of obesity was 12.0% in males, 10.0% i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Male adolescents tended to deal with stress with leisure activities, female adolescents did by talking about their problems with related people.

Conclusion : This overview of health associated issues among adolescents provided a unique view of differences in health care needs between younger and older teens and between male and female teens. These data hav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adolescents.
초록
연구배경 : 여러가지 건강상태가 습관화되고 청장년기 건강의 기초가 되는 청소년기는 건강증진의 관점에서 중요성이 높은 시기이다. 이 연구는 청소년들이 흔히 호소하는 증상 및 진단받은 질환을 분류해보며 의료기관 이용실태, 건강을 유지하고 증진시키기 위해 하고 있는 행위의 실천상태를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방법 : 1998년 5, 6월중에 서울시내 1개 초등학교 5.6학년 학생 414명(10-12세) 및 1개 중학교 학생 1,435명(12-15세), 1개 고등학교 학생 1,922명(15-18세)을 대상으로 자기 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인지된 건강문제, 최근 1달간 경험한 증상, 평소의 건강행위 실천 상태등을 조사하고, 그 학부모를 대상으로 인지된 자녀의 건강문제, 최근 1년간의 청소년의 각종 의료기관 이용실태(병의원, 한방, 치과) 및 진단받은 질환 등을 조사하였으며, 학부모 3,246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 1) 전 연령층에 있어서 학생과 학부모 공히 학업성적이 가장 큰 정신사회적 문제였다. 2) 남녀 공히 중학생에서 자신이 건강한 편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고, 여고생 본인이 인지하고 있는 건강 수준이 가장 부정적이었다. 3) 병의원과 치과 이용은 학년이 높아지면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한방 이용은 학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지난 1년간 진료 받은 초 중 고생 공히 치아우식증이 가장 많았으며, 초등학생의 경우 감기, 비염 등의 상기도 감염이 수위를 차지하였고, 학년이 높아지면서 사고(남자), 두통(여자)의 진료 경험이 증가되었다. 4) 중. 고생의 경우 남녀 공히 피곤을 가장 많이 경험 하였고, 여고생의 여러 증상 호소 비율이 가장 높았다. 5) 학년이 높아 지면서 아침식사, 적절한 수면, 규칙적인 운동을 실행하는 학생의 비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고등학생의 현재 흡연율은 남녀 각각 21.9%, 1.9%이었고 현재 음주율은 남녀 각각 34.5%, 13.3%이었고, 비만의 유병율은 남자 12.0%, 여자 10.0%이었다.

결론 : 10대 청소년의 주요 건강 관련 문제들은 성별, 연령별로 다소간의 차이를 보이고 있었으며, 따라서 청소년 대상의 건강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할 경우 이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