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ation between Depressive Trends and Body Weight in Teen-age Girls. |
Jing Won Kang, Chan Wook Park, Hyoung Won Park, Young Ryoung Park |
|
10대 여학생들의 우울성향과 체중의 관계 |
강징원, 박찬욱, 박형원, 박영룡 |
성남병원 가정의학과 |
|
|
Abstract |
Background : Feeling obese for one's figure can be a sufficient reason for self-alienation, especially in women. It may be a main cause of inferiority complex about their appearance. Therefore, we studied the relation between obesity and depressive trends based on the self-evaluation for their body figure among teen-age girls sensitive to the changes of their weight and body figure.
Methods : In July 1993, we surveyed for 1,096 school girls whose ages were from 12 to 19. As an objective evaluation of body figure status, we calculated Body Mass Index(BMI=weight(kg)/height2(m2)) based on the physical examination done by each school in May 1993, and we classified the subject as underweight(BMI<18), acceptable weight(18≤BMI<25), and obese(BMI≥25). By using Korean BDI, we divided groups as no depression(BMI score 0-14), mild depression(15-19), and marked depression(≥20). We also asked about self-perception for their body-image and classified the result as dissatisfaction for lean figure, satisfaction, dissatisfaction for fatness, and hatred for fatness.
Results : In the body figure distribution of respondents ; underweight was 16.2% ; acceptable weight was 78.8% ; obese was 4.9%. The patterns and distributions of self-recognition for their body were like these ; dissatisfaction for lean figure(2.6%) ; satisfaction(57.4%) ; dissatisfaction of fatness(35.2%) ; hatred for fatness(4.8%). As the results above, 40.0% of respondents regarded themselves as obese. Obese-perceptual rate of obese group was 90.8% and obese-hatred frequency was 20.4%. For the acceptable weight group, 43.7% amd 4.5% for each. Even for the underweight group, the rate was 6.2% and the frequency was 1.0%(P<0.001). 50.9% of marked depression showed the dissatisfaction or hatred for fatness. And the rate of marked depression in hatred for fatness was 67.4%(P<0.001). In a distribution of depressive trends accoding to the body fiqure, the rate of mild depression was highest in obese group, whereas acceptable weight and underweight showed 67.0%, 65.0% of each. And the rank of marked depression rate as follows ; acceptable(40.3%) ; overweight(40.3%) ; underweight(28.7%).
Conclusion : For teen-age girls the prevalence of obesity was considerably low compared with that of adults, but the degree of obese-perception and frequency of hatred for fatness were notably high. We concluded that obesity and inferiority complex for their appearance had much influences on the teen-age girls' depression. Accordingly, on the consultation for the obesity, family physicians should consider supportive therpy in view of psychosocial aspects. |
초록 |
연구배경 : 비대하다는 자기체형에의 인식은 개인에게 소외감을 초래하기 충분하며, 특히 젊은 여성의 경우 자기외모에 열등의식을 갖게되는 큰 요인일 것이다. 이에 저자등은 몸매와 체중변화에 민감한 10대 여학생들을 대상으로 자기체형에 대한 평가를 조사하고, 비만과 우울성향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93년 7월 여중 1학년부터 여고 3학년까지의 여학생 109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지원자들의 나이는 12세부터 19세까지였다. 체격조건의 평가로서 동년 5월 실시한 학교별 신체검사의 기록을 토대로 체격지수(BMI=몸무게 kg/키㎡)를 산출하고, 저체중군(BMI<18), 정상체중군(18≤BMI <25), 비만군(BMI≥25)의 3군으로 구분하였다. 우울성향의 평가도구로써 한글판 BDI를 이용하여 무우울군(0-14), 경도우울군(15-19), 현저한 우울군(≥20)의 3군으로 분리하였다. 자신의 체형에 대한 의견을 묻는 질문을 병행하여 저체중불만군, 자기체형만족군, 비대불만군, 비대혐오군의 4군으로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 지원자들의 체격분포는 저체중군이 16.2%, 정상체중군이 78.8%, 비만군이 4.9%, 비대불만군이 35.2%, 비대혐오군이 4.8%로 총응답자의 40.0%가 자신을 비만하다고 평가하였다. 비만군의 비대인지도는 90.8%이고 비대혐오빈도는 20.4%였다. 정상체중군의 비대인지도는 43.7%이고, 비대혐오빈도는 4.5%였다. 심지어 저체중군의 비대인지도는 6.2%였고, 비대혐오빈도도 1%로 나타났다(P<0.001). 현저한 우울군(BDI≥20)의 50.9%가 비대불만이거나 비대혐오를 나타냈으며, 비대혐오군에서의 현저한 우울은 67.4%에 달한다(P<0.001). 체격군별 우울 분포에서 경도의 우울성향(BDI 15-19)은 비만군(68.5%), 정상체중군(67.0%), 저체중군(65.0%)의 순으로 비만군에서 제일 높다. 현저한 우울은 정상체중군(40.3%), 비만군(37.0%), 저체중군(28.7%)의 순으로 저체중군보다 비만군에서 유의하게 높다(P<0.05).
결론 : 10대 여학생 비만의 빈도는 성인에 비해 현저히 낮지만 이들의 비만 인식도는 성인에 비해 월등히 높다. BDI 20점이상을 보인 예의 과반수 이상이 비대불만군이거나 혐오군이라는 결과에서 10대 여학생의 우울증에 관여하는 인자중 비만을 위시한 외모에 대한 열등감에 크게 관여한다고 볼 수 있다. 비만군에서 경도우울의 빈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보아 저자등은 비만인구의 상당수에서 경도이상의 우울을 초래한다고 결론지었다. 비만상담에 응하거나, 비만을 치료하는데 있어서 사회심리학적인 요인을 고려한 지지요법의 배려가 필요하다고 사료되며, 비만인구에게서 우울증을 증명함으로써 그들의 성공적인 체중조절을 도울 수 있을 것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