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ite Blood Cell Count and the Risk of Hyperglycemia according to Smoking Status. |
Yong Jae Lee, Ue Kyoung Hwang, Sang Won Kim, Jae Woong Sull, Sun Ha Jee |
1Division of Family Medicine, Yong-dong Severance Hospital,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jsunha@yumc.yonsei.ac.kr 2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Seoul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3Department of Epidemiology and Health Promotion,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
흡연 정도에 따른 백혈구 수 증가와 고혈당증의 관계 |
이용제,황의경,김상원,설재웅,지선하 |
1 2 3 |
|
|
Abstract |
Background : Recently, inflammation has been associated with insulin resistance and the development of type 2 diabetes mellitus.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white blood cell (WBC) count and the incidence of hyperglycemia and the interactive effects of smoking and elevated WBC count on hyperglycemia.
Methods : We prospectively examined 6,734 Korean males without IFG (fasting plasma glucose concentration of ≥ 110 mg/dL) or type 2 diabetes mellitus from 1994 to 2002. We divided WBC counts into 4 groups: 2.9∼5.9 (reference quartile), 6.0∼6.9, 7.0∼8.1, 8.2∼16.5 (×103 cells/μL), respectively. The odds ratios were calculated by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ccording to WBC quartiles after adjusting for predictive risk factors of type 2 diabetes mellitus. Also the odds ratios were calculated after stratification according to smoking status.
Results : Compaired to reference quartile, the odds ratio for hyperglycemia was 1.09 (95% CI, 0.91∼1.30), 1.17 (95% CI, 0.99∼1.40), 1.34 (95% CI, 1.12∼1.60) (P value for trend=0.0009), respectively. And the odds ratio for IFG or type 2 diabetes mellitus was 1.08 (95% CI, 0.83∼1.42), 1.16 (95% CI, 0.89∼1.50), 1.28 (95% CI, 1.00∼1.65) (P value for trend=0.0395) among the current smoking group, respectively.
Conclusion : Our findings demonstrate that an elevated WBC count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hyperglycemia, particularly in current and former smokers. These results support our hypothesis that inflammation increases the risk of hyperglycemia. |
Key Words:
prospective study, white blood cell count, hyperglycemia, smoking |
초록 |
연구배경 : 인슐린 저항성 및 제2형 당뇨병의 발생이 염증과 관련되어 있다는 보고가 있다. 저자들은 염증지표인 백혈구 수 증가와 고혈당증의 관계 및 흡연 상태별로 백혈구 수의 증가가 고혈당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전향적 연구를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 공복혈당장애 또는 당뇨병의 기왕력이 없는 남성 건강검진 피검자 6,734명을 대상으로 백혈구를 2.9∼5.9, 6.0∼ 6.9, 7.0∼8.1, 8.2∼16.5 (×103 cells/μL)의 네 구간으로 구분하고 2.9∼5.9구간을 기준집단으로 하였다. 1994년 1월 1일부터 2002년 12월 31일 사이에 당뇨병을 진단받은 경우 또는 2003년 검진 시 공복혈당이 110 mg/dL 이상의 공복혈당장애를 고혈당증으로 정의하였고, 고혈당증과 관련성이 있다고 알려진 인자들을 독립변수로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백혈구 구간별 고혈당증의 승산비를 구하였다. 또한 흡연상태별로 백혈구 수의 증가와 고혈당증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비흡연군, 과거흡연군, 현재흡연군의 세 군으로 층화한 후 고혈당증의 승산비를 구하였다.
결과 : 기준집단에 비해 제2구간, 제3구간, 제4구간으로 백혈구 수가 증가함에 따라 고혈당증 발생의 위험도는 1.09 (95% CI, 0.91∼1.30), 1.17 (95% CI, 0.99∼1.40), 1.34 (95% CI, 1.12∼1.60)로 증가하였으며(P value for trend= 0.0009), 과거흡연자에서는 1.22 (0.89∼1.69), 1.17 (0.85∼1.62), 1.70 (1.23∼2.36), 현재흡연자에서는 1.08 (95% CI, 0.83∼1.42), 1.16 (95% CI, 0.89∼1.50), 1.28 (95% CI, 1.00∼1.65)로 증가하였다(P value for trend=0.0395).
결론 : 백혈구 수가 증가할수록 고혈당증의 발생 위험도가 증가하고, 특히 현재흡연군과 과거흡연군에서 고혈당증의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흡연군자와 과거흡연자에서 만성적인 저강도의 염증이 고혈당증의 위험인자임을 시사한다. |
중심 단어:
전향적 연구, 백혈구 수, 고혈당증, 흡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