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per Gastrointestinal Endoscopy without Topical Pharyngeal Anesthesia. |
Eun Hee Kong, Ji Young Jang, Jong Soon Choi, Jee Yeon Kim, Seun Ja Park |
1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Gospel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Kosin University, Busan, Korea. eh-kong@hanmail.net 2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Gospel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Kosin University, Busan, Korea. |
상부 위장관 내시경에서 국소 인두마취제의 효과 |
공은희,장지영,최종순,김지연,박선자 |
1 2 |
|
|
Abstract |
Background : Many endoscopists generally use topical pharyngeal anesthesia as a premedication for upper gastrointestinal endoscopy. However, the use of topical pharyngeal anesthesia for upper GI endoscopy has been debated since its incep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 of no premedication to the effect of a lidocaine premedication.
Methods : One hundred consecutive examinees scheduled for diagnostic upper endoscopy, divided into two group 50, were randomly assigned to receive topical lidocaine spray or without. The test group involved subjects not using topical pharyngeal anesthesia and the control group involved subjects using it without sedation. The collected data included intubation time (seconds), procedure time (minutes), pulse rate, blood pressure, the difficulty of the endoscopy (VAS), anxiety (STAI), and discomfort. Examinees were also asked whether they would agree to another endoscopy if their doctor thought it was medically necessary.
Results : In the response to the amount of cough, belching, bloating or the degree of difficulty in endoscopic procedur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es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intubation tim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comparing the no-premedication group versus lidocaine premedication group. However, the procedure tim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normotensive group, the changes of systolic blood pressure during endoscopy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test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 Evaluating all variable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es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
Key Words:
topical pharyngeal anesthesia, premedication, lidocaine, upper gastrointestinal endoscopy |
초록 |
연구배경 : 많은 내시경 시술자들이 상부 위장관 내시경 삽입 시 통증을 줄이기 위해 국소 인두마취제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처치의 효과는 충분히 검토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소 인두마취제 유무에 따른 영향을 보고자 하였다.
방법 : 한 대학병원 종합검진센터를 방문하여 내시경을 선택한 검진자 중 100명을 연속 추출하였다. 전향적 순차적 표본 추출에 의한 맹검으로 국소 인두마취제를 전처치하지 않은 군을 시험군으로 50명, 리도카인 스프레이(spray)로 전처치한 군 50명을 대조군으로 분류하였다. 측정 항목들로는 내시경 시술 동안 혈압, 맥박, 삽입시간(초), 시술시간(분), 검사자 및 수검자의 시술 난이도 평가(VAS), 검진자의 불안도(STAI 설문지, 시술 전후), 내시경 중 불편감 유무, 내시경 시행 후 7일 동안 목의 불편감과 통증의 유무와 지속기간을 평가하였다.
결과 : 시술의 난이도 및 오심, 기침, 헛구역질, 복부팽만 등 내시경 중 불편감은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정상혈압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시험군이 내시경 전후 수축기 혈압에서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 삽입시간은 시험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짧았으나, 시술시간은 양 군 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본 연구에서 전반적으로 시험군, 대조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할만한 차이는 없었다. |
중심 단어:
국소 인두마취제, 전처치제, lidocaine, 상부 위장관 내시경 검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