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lationship between Testosterone and Bone Mineral Density in Middle Aged Men. |
So Lim Kim, Soo Kyung Jung, Moon Jong Kim, Jean Lee, Young Gon Kang, Young Jin Lee, Chul Young Bae |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Pundang CHA General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Pochun Chung-Moon University, Korea. mjkimfm@cha.ac.kr |
중년 남성에서 테스토스테론과 골밀도와의 연관성 |
김소림,정수경,김문종,이진,강영곤,이영진,배철영 |
포천 중문의대 가정의학교실 |
|
|
Abstract |
Background : With the population aging, osteoporosis is becoming a major health issue. Although not as common as women, osteoporosis and its clinical end point of fracture are significant health care concern in men. Despite the considerable public health burden, our understanding of their pathogenesis is incomplete, and several factors known to affect bone metabolism in men are still controversial. So this study was made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testosterone and bone mineral density in men.
Methods : This was a cross-sectional study of 432 men undertaken health screening program in Pundang CHA General Hospital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00. We surveyed information concerning exercise and consumption of alcohol and smoking by means of self questionnaire records. Serum total testosterone, SHBG, and osteocalcin were measured at a fasting state. Second morning urine was tested for deoxypyridinoline. BMD was assessed using pQCT.
Results : FTI (free testosterone index)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BMD (r=0.265, P<0.01). Age, osteocalcin, SHBG, and urine deoxypridinoline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BMD (r=-0.397, P<0.01, r=-0.121, P<0.05, r=-0.214, P<0.01, and r=-0.126, P<0.01). BMI and total testosterone ha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BMD, and there were no apparent association among the level of alcohol and tobacco use, regular exercise and BMD. FTI was not independently correlated with BMD after age, BMI and urine deoxypyridinoline were adjusted, but showed a trend to significantly predict BMD (β=0.10, P=0.052).
Conclusion : These data suggest that FTI may play a role in determination of BMD in men, allowing the potential for clinical intervention. But further investigation of the role of testosterone in bone metabolism in men is necessary. |
Key Words:
bone mineral density, testosterone, FTI, men |
초록 |
연구배경 : 노인 인구의 증가에 따라 골다공증이 보건분야의 주요문제 중 하나로 대두되고 있다. 여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흔하지는 않지만 골다공증과 그것의 임상적 종결점인 골절의 문제는 남성에서도 중요한 건강증진의 관심사가 되었다. 공중보건학적인 측면의 부담이 적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남성 골다공증의 병태생리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며, 골대사에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는 몇몇 호르몬 및 생화학적인 요인에 대해서도 아직 논란이 지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남성에서 테스토스테론과 골밀도 사이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방법 : 2000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분당 차병원 검진센터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1982명의 남성 중에서 혈중 총테스토스테론, SHBG, osteocalcin, deoxypyridinoline 및 골밀도의 결과가 있으며, 골밀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질환이나 약물 복용력이 있는 예를 제외한 432명의 남성에 대한 단면 연구를 시행하였다. 운동, 음주, 흡연 정도는 자가설문기록을 통해 조사되었으며, 골밀도는 pQCT를 이용하여 원위 요골부에서 측정되었다. 총테스토스테론, 성호르몬결합단백(Sex Hormone Binding Globulin, SHBG), osteocalcin의 측정을 위해 최소한 8시간의 공복상태로 아침 10시 이전에 채혈하였으며, deoxypyridinoline의 측정을 위한 소변은 아침 첫뇨는 버리고 다음 요를 채집하였다.
결과 : 유리 테스토스테론 지수와 골밀도는 양의 상관관계(r=0.265, P<0.01)를 보였으며, 연령, osteocalcin, SHBG 및 deoxypyridinoline은 골밀도와 음의 상관관계(각각 r=-0.397, P<0.01, r=-0.121, P<0.05, r=-0.214, P<0.01, r=-0.126, P<0.01)를 보였다. 신체 비만 지수 및 총테스토스테론의 경우 골밀도와 의의있는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음주, 흡연 및 운동 정도와 골밀도와는 의의있는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나이, 신체비만지수, 그리고 deoxypyridinoline을 보정한 후 유리 테스토스테론 지수는 골밀도와 독립적인 관련성은 없었으나 골밀도의 의의있는 예측인자로서의 경향을 보여주었다(β=0.10, P=0.052).
결론 : 결론적으로 이 자료들은 남성에서 유리 테스토스테론 지수가 골밀도의 결정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하며, 이에 대한 임상적 중재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남성에서 테스토스테론이 골대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
중심 단어:
골밀도, 테스토스테론, 유리 테스토스테론 지수, 남성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