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2;23(5):627-636.
Published online May 31, 2002.
The Usefulness of a Self-marking Method for Musculoskeletal Pain in Outpatient Clinic.
Se Wook Oh, Su Jung Park, Youn Seon Choi, Kyung Hwan Cho, Myung Ho Hong, Jung Ae Chang, Young Kyu Park
1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chokh@korea.ac.kr
2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Korea.
근골격계 통증에 대한 문진에서 그림을 이용한 자가표시법의 효용성
오세욱, 박수정, 최윤선, 조경환, 홍명호, 장정애, 박영규
1
2
Abstract
Background
: Symptoms of musculoskeletal system is a common problem, followed by those of respiratory system. Most patients with problems of musculoskeletal system are examined and treated by a primary doctor.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inquire into a method which can increase the effectiveness and the precision of history taking in patients with problems of musculoskeletal system in primary care and also to assess a self-marking method were patients can mark their pain site on a normalized picture.

Methods : In the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and rehabilitation of an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44 patients with musculoskeletal pain on their first visit in an outpatient clinic were asked to put marks on a normalized picture and also mark the degree of pain with a visual analog scale from 0 to 10, before history taking. After history taking, the doctor also marked the spot of the patient's pain on the normalized picture and then compared the spots together. After comparing the two pictures of the doctor's and the patients', they then drew another picture with only one spot to avoid overlapping spots. We compared the differences among the patients in every decade from ages 20 to 60 and divided the value of visual analog scale into 3 groups concerning the spots drawn by patients, and compared the relations between them.

Results : The pain spots drawn by doctor only were on the lumbar spine and the shoulder whereas most of pain spots drawn by patients only were on the upper back, the cervical spine, and the lumbar spin. The older the patient and the lower the degree of pain was, the more humerous it had spots.

Conclusion : It is considered that with a general history taking method and a self-marking method, clinical effectiveness will be great to the patients having pain on the abdomen, the cervical spine, and the lumbar spine and to those who are elderly and with lower pain spots.
초록
연구배경 : 근골격계의 증상은 환자가 병원을 찾는 이유 중 호흡기 질환 다음으로 흔한 문제이다. 근골격계의 질환은 진단기준의 모호성으로 그 원인을 밝히는 데 어려움이 있으나 정확한 문진이 정보를 얻는 데 중요하다. 실제 많은 일차진료 의사가 근골격계 문제를 호소하는 환자들을 평가하고 돌보고 있다. 이에, 일차진료에서 흔히 접하게 되는 근골격계 통증 환자에서 문진의 효용성 및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일반적인 문진의 방법과 더불어 환자 자신이 직접 통증 부위를 그리는 그림을 이용한 자가 표시법의 임상적 효용성을 고찰하기 위해서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서울 모대학병원 가정의학과와 재활의학과의 외래를 방문하는 초진 환자 중 근골격계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 44명에 대해서 문진을 시작하기 전에 직접 통증 부위에 대해 표준화된 그림을 이용하여 그림을 그리게 하고 각 통증 부위의 강도를 visual analog scale을 이용하여 0에서 10까지 동시에 표기하도록 하였다. 문진 후 의사도 같은 표준화된 그림을 이용하여 환자의 통증 부위를 그리고 환자가 그린 그림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의사와 환자의 두 그림을 이용하여 통증 부위의 차이를 비교하여 의사만 표시한 통증 부위와 환자만 표시한 통증 부위를 하나의 그림에 중복하여 하나의 점으로 표시하였다. 환자의 연령을 20대부터 60대 이상까지 각 10대의 연령별로 환자의 연령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였다. 또 환자만 표시한 각 통증 부위에 대한 visual analog scale값을 3개의 group으로 나누고 통증의 강도에 따른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결과 : 의사만 표시한 통증 부위는 요추부와 견관절에 주로 많았고 환자만 표시한 토증 부위는 배부, 경추부, 요추부에 많았다. 연령이 높을수록, 통증의 강도가 낮을수록 환자의 전체 통증 부위에 대한 환자만 표시한 통증 부위의 비율이 높았다.

결론 : 일반적인 문진의 방법과 더불어 환자가 그림을 이용한 자가 표시법을 사용했을 때 배부와 경추부와 요추부 등에 통증이 있는 경우, 연령이 높을수록 강도가 낮은 통증 부위에서 임상적 효용성이 더 클 것으로 생각한다.
중심 단어: musculoskeletal system, pain, visual analogue scale, self-marking method, 근골격계, 통증, Visual analogue scale, 자가표시법
TOOLS
Share :
Facebook Twitter Linked In Google+ Line it
METRICS Graph View
  • 820 View
  • 15 Download
Related article in KJFM

The Usefulness of Heavy Smoking Index as a Test for Nicotine Dependence.2008 June;29(6)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