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ognition and behavior of family physicians working in private clinic on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
Sang Peel Bae, Su Jin Kim, Hong Jun Cho, Ji Hyun Ahn |
1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Ulsan Universiur, Korea. 2Dong-ln Clinic, Korea. |
개원 가정의의 평생의학교육에 대한 인식과 행태 |
배상필, 김수진, 안지현, 조홍준 |
1 2 |
|
|
Abstract |
Background : Obligatory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was applied by medical law for lifelong education to physicians in Korea. A new method of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was needed because of wide-spread and easy access to internet which resulted in improved public knowledge of medicine, and appearance of a new internet site for doctors's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Methods : A questionnaire was sent twice by mil and fax to randomly selected 256 office based family physicians in Seoul and Kyonggi Province in May 2001 and 124 available responses were received.
Results : The response rate to the questionnaire was 50.7%. Median studying time per week for the past one year of the responders was 3 hour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in studying time per week with duration in practice, age, sex, or internet accessibility at clinic. The group with more than or equal to 6 years in duration of practice was significantly more than the group of participating academic conferences(P=0.027), number of participating lectures for office based physicians(P=0.001) and points of formal continuing medical education(P=0.002). The practice pattern change after attendance was 51.3% in 5years or less in duration of practice, 42.7% in 6years on more. Main causes of being reluctant to attend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activities were 'no practical content' and 'long distance'.
Conclusion : For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care by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practical program applicable to the clinical practices should be developed and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activities be carried out in various areas. |
초록 |
연구배경 : 우리나라는 의사들의 평생 교육을 위해 의료법에서 보수 교육 실시를 의무화하고 있다. 인터넷의 보급으로 일반인의 의학지식이 향상되고, 의사들의 평생 교육을 위한 인터넷 사이트가 생겨나는 등 평생의학교교육에 대한 관심의 증가와 함께 방식의 개선이 필요 한 데 이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어 본 연구를 시행하게 되었다.
방법 : 2001년 5월, 서울, 경기 지역 가정의학과 개원의중 단순 무작위 추출한 256명에게 2차에 걸쳐서 우편과 FAX를 통해 설문지를 발송해서 유효한 124개를 대상으로 평생의학교육의 형태와 인식을 비교하였다. 응답률을 높이기 위해 응답자 중 세 명을 추첨해서 소정의 선물을 주기로 했고, 연구가 완성되면 연구 결과를 응답자 전원에게 보내주기로 했다.
결과 : 설문에 대한 응답률은 50.7%였다. 전체 대상자들의 지난 1년간 주당 평균 학습시간의 중위수는 3시간이었고, 개원기간, 나이, 성별, 의원에서의 인터넷 접속 가능 여부와 주당 평균 학습 시간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구독하는 의학잡지 수(P=0.001)와 학술대회 참여횟수(P=0.027), 개원의를 위한 연수강좌 참여횟수(P=0.001), 지난 1년간 최득한 보수교육 평점(P=0.002)은 개원한지 5년 이하인 군보다 6년 이상인 군에서 유의하게 많았다. 그리고, 보수교육 참여이후 진료 행태가 변화되었다고 응답한 경우는 개원기간이 5년 이하인 군에서는 51.3% 이었고, 6년 이상인 군에서는 42.7%이었으며, 교육 참석을 꺼리는 이유 중 ‘실용적인 내용이 없어서’와 ‘거리가 멀어서’가 다수를 차지했다.
결론 : 개원의의 평생의학교육을 통한 진료의 질 향상을 위해 개원의의 필요에 맞는 실용적인 내용의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여러 지역에서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