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1;22(7):1043-1051.
Published online July 1, 2001.
The relationship between osteoarthritis and bone mineral density in the lumar spine.
Jeong Yeol Oh, Choon Woo Lee, Dong Jin Jeon, Hee Tak Ryu
1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Pundang Jesaeng General Hospital.
2Department of Radiology, Pundang Jesaeng General Hospital.
요추의 골관절염이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오정열, 이춘우, 전동진, 유희탁
1
2
Abstract
Background
: Osteoporosis is becoming major health problem in old age and menopausal women, and osteoarthritis is most common joint disease in both ages. The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osteoporosis and osteoarthritis was first noticed 20years ago. However the subject had not been studied in korea. Thus, our objectives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osteoarthritis on bone density measurements.

Methods : The study group consisted of 120 women, aged over 40 years, who visited for health examination in Health Center of Poondang-Jesaeng general hospital from October 1998 to April 1999. Bone mineral density(BMD) of the lumar spine was measured, using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Lunar, Expert XL), and lateal lumbar spine radiograph was taken. Severity of osteoarthritis were scored on osteophytes, disk space narrowing and vertebral body sclerosis.

Results : Postmenopausal women had significantly lower BMD than premenopausal women(P<0.001). Age(r=-0.545,p<0.001), body mass index(r=0.264,p<0.01) and education(r=0.284, p<0.001)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BMD, but smoking, exercise, radiogrphic OA variables not correlated. However,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osteoporosis related variables and OA variables is indicated that menopausal status, body mass index, age, osteophyt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factor with BMD, and lumbar osteophytes explained 2.7% of variation in lumbar spine BMD.

Conclusion : We conclude that, among women, lumbar BMD is higher in those with osteophytosis of the lumbar spine. The effect is largely directed by osteophytes being included in the BMD measurement.
초록
연구배경 : 골다공증은 폐경 후 여성과 노인에서 중요한 건강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골관절염은 관절을 침범하는 가장 흔한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외국에서는 이 두 질환의 연광성에 대해 여러 연구들이 있었으나 우리나라에는 이에 대한 연구가 아직 없어, 40세 이상의 여성을 대상으로 골관절염의 정도와 골밀도 간의 연광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98년 10월부터 1999년 4월까지 모 병원 종합검진센터에 내원하여 검진을 시행한 40세 이상 여성 13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골밀도는 이중방사선에너지흡수법(DEXA)으로 요추 2번째-4번째(전후방) 부위를 측정하였다. 요추의 측방 방사선 촬영을 시행한 후에 4개의 척추간격(L1-2, L2-3, L3-4, L4-5)에 대해 각각 골관절염의 3가지 기준인 골극, 추간판 간격의 감소, 추제경화의 정도를 0(정상), 1,2,3(중증)으로 점수를 매긴 다음 각 척추간격의 점수를 합하여 3가지 기준에 대해 0-12점 분포를 갖도록 하였으며, 골관절염의 정도는 이 3가지 점수를 합한 값으로 정하였다.

결과 : 연구대상자는 40세부터 79세까지의 여성 120명으로, 평균연령은 53.9세였고 폐경 전 여성이 38.2%, 폐경 후 여성이 52.5%, 자궁절제술을 시행한 여성이 9.3%였다. 폐경 후 여성에서 폐경 전 여성보다 유의하게 낮은 골밀도를 보였으며(p<0.001), 연령(r=-0.545, p<0.001), 체질량지수(r=0.264, p<0.01), 학력은 골밀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폐경 이후의 기간, 흡연, 운동은 물론 골극, 추간판 간격, 추체경화, 골관절염의 정도는 골밀도와 유의한 연관을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혼란변수를 보정하기 위하여 골밀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과 골관절염에 대한 변수를 독립변수로 하여 다단계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골밀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폐경 유무(p<0.001), 체질량지수(p<0.01), 연령(p<0.01), 골극(p<0.05)이었으며 설명력은 각각 30.7%, 7.7%, 4.9%, 2.7%였다.

결론 : 골극은 혈관화와 신생골 생성으로 특징지어지는 재생과정의 하나로서, 양적인 골량변화를 일으키기 때문에 골밀도를 높인다고 생각된다.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