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vention of bone loss with vitamin D3 supplementation, hormone replacement therapy and combination therapy in postmenopausal women. |
Moon Young Lee, Dae Eun Kim, Yoo Sun Moon, Young Ho Choi |
Hallym University Medical College, Sacred Heart Hospital, Chunchon, Korea. |
비타민 D3 , 여성호르몬 단독 및 병합요법이 폐경후 여성의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
문유선, 최영호, 이문영, 김대은 |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춘천성심병원 가정의학과 |
|
|
Abstract |
Background : The positive effects of hormone replacement therapy (HRT) on the skeleton in postmenopausal women are well defined. However, the effects of vitamin D supplementation on BMD in postmenopausal women are controversial. But many women, who are contraindicated to HRT or afraid of side effects of HRT or are already on HRT regimen, take calcium plus vitamin D supplement for prevention of osteoporosis. Therefor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 of vitamin D supplementation on BMD in postmenopausal women and to determine whether vitamin D supplementation can give additional benefit to HRP.
Methods : Subjects were 109 postmenopausal women out of total 213, who visited the Sacred Heart Hostpital, Chuncheon and had followed up BMD study one year after during January, 1996 to May, 1999. The study group was as follows : No treatment (n=31) ; Vit D (n=11) ; HRT (n=50) ; HRT+Vit D (n=17).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changes of BMD in the region of lumbar spine (L2-4) and femur (femoral neck, trochanter, Ward's triangle). SPSSWIN 7.5 was used for statistical procedure.
Results : Subject had a mean age of 54.4±5.7 years, mean menopausal age of 48.4±2.4 years, mean postmenopausal duration of 6.1±4.1 years, and mean body mass index of 24.1±2.8 kg/m2. No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ge, menopausal age, postmenopausal duration, and body mass index) and changing rate of BMD. Lumbar BMD had increased by 1.83% in the Vit D group, by 1.95% in the HRT group and by 3.15% in the HRT+Vit D group, whereas it had decreased by 1.99% in the no treatment group. The increase of femoral neck BMD in the Vit D group was 1.5%, in the HRT group 0.66%, and in the HRT+Vit D group 2.09%, but the loss in the no treatment group was 1.65%. The changes of trochanteric BMD were as follows: No treatment group(-2.49%), Vit D group (0.04%), HRT group (1.48%), and HRT+Vit D group (-4.09%), Vit D group (1.17%), HRT group (-0.01%), HRT+Vit D group (0.16%). In the Vit D group, except for the trochanteric area (P<0.05),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BMD of L2-4, femoral neck, and Ward's triangle (P<0.05) whereas in the HRT group and HRT+Vit D group significant increases were observed in all areas (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ce among Vit D group, HTR group and HRT+Vit D group.
Conclusion : This study confirmed the beneficail effect of HRT on lumbar and femoral BMD. It also showed that low dose Vitamin D supplementation had effect in the prevention of osteoporosis in postmenopausal women, In the HRT+Vit D group. BMD had increaed more than HRT alone, but does not give benefit additional to that of HRT alone. |
초록 |
연구배경 : 폐경후 여성에서 호르몬대체요법이 골무기질량을 보존하는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으며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활성형 비타민 D₃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논란이 많지만, 호르몬 대체요법의 금기가 되거나 부작용으로 호르몬 복용을 꺼리는 사람에게는 칼슘과 비타민 D 제재가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다. 이 연구는 비타민 D 투여, 호르몬 대체요법의 골밀도 변화에 미치는 효과와 이 두 약물의 병합투여시 부가적 효과 여부를 관찰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96년 1월부터 1999년 5월까지 춘천 성심병원에서 폐경이후 골밀도검사를 실시하고 1년 뒤 추적골밀도 검사를 시행한 213명의 페경 여성 중에서 아무런 치료도 하지 않은 군 31명, 비타민D 요법군 11명, 여성호르몬 요법군 50명, 비타민과 여성호르몬 병합요법군 17명 합계 총 10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골밀도는 요추 및 대퇴부(경부, 전자부, Ward's triangle)에서 측정하여 각 부위에서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았다. 통계처리는 SPSS for windows 7.5 (SPSS Inc, Chicage, IL, USA)를 이용하였다.
결과 : 평균적으로 연구대상자들의 연령은 54.4±5.7세, 폐경 연령은 48.4±2.4세, 폐경후기간은 6.1±4.8년, 체질량지수는 24.1±2.8kg/㎡이었다. 대상군의 연령, 폐경연령, 폐경기간, 체질량 지수와 각 부위별 골밀도의 변화와의 상관관계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일반적 특성군들이 각 치료방법에 따른 골밀도의 변화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요추부 골밀도의 증가는 비타민 D 요법군에서 1.83%, 호르몬 요법군에서 1.95%, 병합요법군에서 3.15%였으며, 반면에 무치료군에서는 1.99% 감소했다. 대퇴경부의 골밀도 증가는 비타민 D 요법군에서 1.50%, 호르몬 요법군에서 0.66% 그리고 병합요법군에서 2.09%였으며, 무치료군에서는 반대로 1.65% 감소했다. 대퇴전자부의 골밀도 변화는 무치료군(-2.49%), 비타민 D 요법군 (0.04%), 호르몬요법군 (1.48%), 그리고 병합요법군 (1.81%)이었고 대퇴 Ward's triangle의 골밀도 변화는 무치료군 (-4.09%), 비타민 D 요법군 (1.17%), 호르몬 요법군 (-0.01%), 병합요법군 (0.16%)였다. 비타민 D 요법은 대퇴전자부(P value>0.05)를 제외하고 요추부, 대퇴경부 및 Ward's triangle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골밀도 증가가 있었으며 호르몬요법 및 병합요법은 모든 부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골밀도의 증가가 있었다.
결론 : 폐경 후 여성에서 호르몬 대체요법이 요추와 대퇴부에 대한 효과를 확인시켰으며 비타민 D 요법이 요추 및 대퇴골의 골밀도에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며 이는 여성호르몬 대체요법을 실행하지 못하는 여성에서 골다공증을 에방하는데 도움을 준다고 사료된다. 병합요법군에서는 호르몬 단독요법군보다 골밀도 상승을 조금 더 보여 주지만 통계적으로 증가는 미미하여 부가적 효과는 주지 못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