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996;17(10):897-910.
Published online October 1, 1996.
Life Style Measurement and Appraisal in the Offiee.
Jae Ho Lee, Ho Cheol Shin, You Hee Jung
외래진료시의 생활방식 측정 및 평가
이재호, 신호철, 정유희
캬톨릭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과
Abstract
Background
: It is very important aspect in primary care to control life style factors related to diseases. But it seems that primary care doctors have difficulties to appraise biopsycosocially the patient's life style and apply the results into the the daily outpatient managements in Korea, where the medical surroundings confind the interview time with patient's life style easily, bio-psychosocially, and objectively, especially during managing in the office.
Method: From June to August in 1995, among the encounters of outpatient clinic of the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Saint Mary Hospital, 203 subjects were recommended to check their life styles on checklists. This checklist is the one which Dr.Lee modified to be compatible with Korean culture out of Wilson's Fantastic life styles, which is consisted of 25 items each of that we allocated 0-4 points to. So total life style score of this checklist is 100. Among the subje-cts 22 subjects, sampled randomly, were retested 1 week after the 1st test for reliability test by phone interview. The patients who had been diagnosed as adult disease, were allocated into mor-bid group(77 subjects), and the others into healthy group(77 subjects). Cross sectional study was perform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student, t-test, and Chi-square test using MINITAB 7.1 package program.

Results : The checklist used in this study showed an acceptible correlation coefficient(r=0.879) on test-retest. The mean life style score was 65.7(SD 0.75, 41-87)in total group, 63.3(SD 10.37, 41-87)in morbid group, and 68.2(SD 8.48, 53-87)in healthy group. The mean score of morbid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one of healthy group(p=0.0016). Among the 25 total life style items, 10 items showed significantly lower scores in morbid group than in healthy group such as 'positive thinking(p=0.0002)', 'anxiety and worry(p=0.003).', 'anger(p=0.0006)', etc. When life style score was divided into 5 classes by 90% and 70% of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dds ratio between excellent and dangerous groups was 3.56. The post-intervention reappraisal for knowing the short term effect, tried at 3 weeks after the pre-intervention test, showed a rise of mean life score by 4.1(p=0.026).

Conclusion : The checklist, used in this study is agreed as a useful method to assess and ap-praise patient's life style, acceptible in reliability and validity, adaptible in outpatient primary care medicine, and applicable in self-assessment by patients.
초록
연구배경 : 질병발생과 관련있는 생활방식 요인들은 개선시키려는 노력은 일차의료의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와 같이 외래진료시간이 제한될 수밖에 없는 의료상황속에서 생정산사회적으로 생활방식요인들을 파악하며 이를 진료에 적용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라고 여겨진다. 그 동안 건강위험요인에 대한 평가와 분석이 많이 이루어져 왔지만, 이를 외래진료시에 일상적으로 적용하는 경우는 드물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생활방식요인들을 좀더 객관적이고 총체적으로 다루면서 외래진료시에 활용가능한 생활방식 평가방법을 모색하였다.
연구

방법 : 1995년 6월부터 8월까지 여의도 성모병원 가정의학과 외래를 방문한 사람 중 연구에 참여하기로 203명을 대상으로, 생활방식 Checklist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이 Checklist는 Wilson의 생활방식 Checklist를 우리의 문화적 관심에 맞게 본 연구자가 수정 보완한 것으로 분량이 한 쪽에 불과하여 5~10분이면 작성이 가능한 것이다. 대상자중 무작위로 추출한 22명에 대해서는 1주후에 전화를 통해 재조사 신뢰도(retest reliability)를 알아보았다. 대상자중 성인병 진단을 받은 과거력이 있거나 조사할 당시에 진단된 경우를 질환군(77명)으로, 병력이 없는 경우와 감염성질환이나 외상성 질환의 병력이 없는 경우를 건강군(77명)으로하여 두 군을 비교하였다. 연구자료의 유의성 검정은 통계용 전산프로그램인 MINITAB 7.1을 사용하였으며, 상관분석과 student t-test, paired t-test, Chi-square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 생활방식 Checklist의 재조사 신뢰도 검정에서는 강한 상관관계(r=0.879)를 보였다. 전체 대상자의 생활방식 점수는 평균 65.7(표준편차 9.75, 41-87)이었고, 질환군에서는 평균 63.6(표준편차 10.37, 41-87), 건강군에서는 평균 68.2(표준편차 8.48, 53-87)으로, 건강군이 질환군보다 유의하게 점수가 높았으며(p=0.0016), 건강군에서는 여성(평균 70.6, ±8.9)이 남성(평균 66.3, ±7.7)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p=0.029)보였다. 총 25개의 생활방식 항목중에서 건강군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인 항목은 10개 항목으로, ‘긍정적 사고’(p=0.0002), '불안과 걱정‘(p=0.0003), 남을 미워하고 화를 잘 낸다’(p=0.0006), '매사에 조급해 하고 안달함(p=0.0014), '여가를 즐긴다‘(p=0.004)등이었다. 생활방식 점수가 우수한 군과 불량한 군 사이에 대응위험도(Odds Ratio)는 3.56이었다. 생활방식 Checklist 각각의 항목에 대해 조언을 듣고, 3주후에 재시행한 평가에서는 총점에서 4.1점의 상승을 보였다(p=0.026).

결론 : 생활방식 체크리스트는 외래진료시에서 적용가능하다고 환자 스스로 작성하고 평가할 수 있는 유용한 생활방식 측정-평가 방법이라고 사료된다.
TOOLS
Share :
Facebook Twitter Linked In Google+ Line it
METRICS Graph View
  • 753 View
  • 4 Download
Related article in KJFM

Measurement of patient satisfaction.1991 February;12(2)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