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lationship between headache, depressive tendency and family function-in high school girls in Seoul-. |
Byung Hwan Lee, Jong Kuk Lim, Do Kyung Yun, Youn Seon Choi, Kyung Hwan Cho, Myung Ho Hong, Jung Ae Jang, Jong Suk Park |
1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Medical College, Korea University, Korea. 2Department of Sin-Banpo Clinic, Korea. 3Department of Chung-Gu Sungsim Hospital, Korea. |
두통과 우울성향 및 가족기능과의 관계 - 서울 모 여자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 |
최윤선, 조경환, 홍명호, 이병환, 임종국, 윤도경, 장정애, 박종석 |
1 2 3 |
|
|
Abstract |
Background : Headache is one of the most common symptoms having experienced by many people. High school girls are expected to experience headache very often. Their proper treatment and adequate medical service is doubtful, and stressful environment of the Korean high school will augment the chronicity of headache. Knowing the forms of headache and categorizing the headache according to headache according to headache classification system is important for proper treatment of headache. Types of headache in high school girls have been categorized using the International Headache Society (IHS) system. The relationship of headache with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and Family APGAR score of the headache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ere investigated.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ttribute to the treatment of headache in female youths.
Methods : The questionnaire on headache, under direct interviews, was given to each high school girls in Seoul, from March 1 to 31, 1999. The headache group was subclassified into migraine group, tension headache group and other headache group, using IHS system, Furthermore, the migraine group was subclassified into migraine with aura (classic migraine), migraine without aura (common migraine) and other migronous disorder. The students who had not experienced any headaches during the recent on year have been selected as the normal group. The normal group was compared with the headache group, I,e., tension headache and megraine. Depressed tendency was assessed using the BDI; and family function was evaluated by Family APGAR. The date were analyzed using SPSS 8.0.
Results : Among the subjects, 304 (60.4%) high school girls had experienced a headache during toe previous on year. The girls with migraine, tension headache, and other types of headache were 110 (38%), 81 (27%) and 113 (35%), respectively. The migraine group showed higher BDI scores (p<0.01). Also, the migraine group showed more depressiveness than the normal group (p<0.01), according to the scores on the BDI which were greater than the cutting score of 21. In the Family APGA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headache groups and the normal group(p>0.05).
Conclusion : When headache in high school girls was classified by using IHS system, headache in the migraine group was more prevalent than in the tension headache group and the normal group. And the migraine group had more depressive tendency. When physicians deal with headache in high school girls, they need to be aware of migraine headache and associated depressive tendency. |
초록 |
연구배경 : 두통은 누구나 경험하는 매우 흔한 증상으로 여고생에서의 두통은 다른 연령에 비해 적지 않은 유병율을 보일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여고생의 두통은 적절한 처치를 받지 못하고 과다한 스트레스 환경에 만성화 경향을 가지기 쉬울 것이다. 이런 여고생에서 두통의 양상을 정확히 알고 올바르게 치료하기 위해 두통 분류체계에 따라 구분해 보는 것은 의미있는 일일 것이다. 이에 저자는 여고생 두통을 국제 두통 협회(International Headache Society)의 분류체계에 따라 구분하고, 분류된 두통군과 정상군의 우울 경향 및 가족기능과의 관련성을 보아 여고생 두통치료에 도움을 주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99년 3월 1일부터 1999년 3월 31일까지 서울 지역에 거주하는 여고생 한 학년을 대상으로 미리 작성한 설문지를 편의적으로 배포하였다. 두통은 HIS의 분류를 기준으로 편두통군과 긴장성 두통군 그리고 이에 속하지 않는 두통군으로 크게 세그룹으로 나누었다. 또한 편두통은 유전조성 편두통, 무전조성편두통 그리고 기타 편두통으로 분류하였다. 지난 1년간 두통을 경험하지 않았다고 응답한 여고생들은 정상군으로 하였다. 두통군중 편두통군과 긴장성 두통군을 대상으로 하여, 정상군과 비교하였다. 각 집단의 우울성향을 비교하기 위하여 자가 우울 평가 설문(BDI)을 이용하였고, 가족기능을 비교하기 위하여 가족 기능도 지수(Family APGAR)를 이용하였다. 자료는 SPSS 8.0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결과 : 서울지역의 모 여고 학생중 1년간 두통을 1회 이상 경험한 여학생은 전체 여학생의 60.4%였다. 이중 편두통군은 전체 두통군의 38%였고, 긴장성 두통은 27% 기타 두통은 35%였다. 두통군중 편두통군이 유의하게 (p<0.01) 자가 우울 평가 설문 점수가 높았으며, BDI 21점을 절단점으로 한 우울성향도 다른군에 비해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편두통군, 긴장성 두통군, 정상군간의 가족기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결론 : 여고생 두통을 국제 두통 협회의 분류에 따라 분류하였을 때 편두통이 가장 많았으며, 편두통은 긴장성 두통군과 정상군에 비해 우울성향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가정의는 여고생 두통환자의 진료시 편두통에 대한 꾸준한 관심을 가지고, 그들의 우울 성향에 대한 치료도 소홀히 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