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2;23(3):301-312.
Published online March 1, 2002.
Effect of enhancing partner support to improve smoking cessation: a meta-analysis.
Eal Whan Park, Jennifer Schultz, Fred Tudiver, Lorne Becker, Thomas Campbell
1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Dankook University Hospital, Korea.
2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SUNY Upstate Medical University, Korea.
3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University of Rochester, Korea.
금연 프로그램에서 파트너 지지가 금연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박일환
1
2
3
Abstract
Background
: Currently thee are over 1 billion smokers worldwide. While many cessation programs are available to assist smoker in quitting, research suggests that partner involvement may encourage long-term abstinence. The purpose of this review was to determine if an intervention to enhance partner support helps smoking cessation when added as an adjunct to a smoking cessation program.

Methods : The search was performed in Cochrane Tobacco Addiction Group specialized register and 10 other databases. The search terms used were smoking, smoking cessation, and support. The search was also limited to English language.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that included a partner support intervention and reported follow-up of 6 months or greater were selected. Abstinence was the primary outcome measure and was analyzed at 2 post-treatment intervals: 6-9 months and > 12 months. A fixed-effects model was used to assess the summary effect of the studies.

Results : A total of 31 articles were identified for this review. Only 9 studies met the inclusion criteria. The definition of partner varied among the studies. There was limited biochemical validation of abstinence rates. The odds ratio for self report abstinence at 6-9 months was 1.08 (CI 95%, .81,-144) and at 12 months post-treatment was 1.0 (CI 95%, 0.75, 1.34). There were no numerical data values for biochemical validation (saliva cotinine/thiocyanate) and carbon monoxide levels at 6-9 months and/or > 12 months follow-up

Conclusion : We concluded that interventions designed to enhance partner support for smokers in cessation programs did not increase quit rates. Limited data from several of the RCTs suggest that these interventions did not increase partner support either. No conclusions can be made about the impact of partner support on smoking cessation. More systematic intervention to affect partnership significantly should be delivered if partner support were part of an existing cessation program.
초록
연구배경 : 세계적으로 현재 흡연 인구는 10억이 넘는다고 한다. 여러 형태의 금연 프로그램이 흡연자의 금연을 돕기 위해 활용되고 있다. 지금까지의 몇몇 연구 결과들은 금연 프로그램에 파트너를 포함시키는 것이 장기 금연율을 높일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금연 프로그램의 한 보조 도구로서 파트너 지지 프로그램을 추가했을 때에 파트너 지지 중재가 금연율을 높일 수 있을지 메타분석을 통해 조사해 보는 것이다.

방법 : 본 연구를 위한 문헌 탐색은 Cochrane Tobacco Addiction Group specialized register외 10가지 문헌 데이터베이스에서 이루어졌다. 탐색을 위해서 사용한 용어는 smoking, smoking cessation, support 등이었다. 모든 조사는 영어로 된 문헌에 국한되었다. 파트너 지지에 대한 중재를 다루고 있는 무작위 대조군 임상 연구만을 대상으로 했으며, 6개월 이상 추적하여 결과를 보고한 논문만 포함시켰다. 가장 우선되는 측정 변수는 온전 금연율이었고, 금연 치료 후 6-9월, 12개월 이상의 시점에서 평가한 자료를 기준으로 하였다. 메타분석을 위해 고정효과 모델을 사용하였다.

결과 : 조사 결과 31개의 연구 논문이 분석대상에 포함되었다. 그러나 9개의 연구만이 포함 기준을 만족하였다. 파트너에 대한 정의가 연구들간에 상이하였다. 금연 상태에 대한 생화학적인 확인은 몇몇 연구에서만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금연 치료 후 6-9개월 째에서의 완전 금연의 교차비는 1.08(CI 95&, 0.81-1.44)이었고, 12개월 이상의 시점에서의 완전 금연의 교차비는 1.0(CI 95%, 0.75-1.34)이었다. 치료 후 6-9개월과 12개월 이상에서의 금연 상태의 생화학적인 확인(타액의 cotinine, thiocyanate)과 호기의 일산화탄소 수준의 측정치는 수치 자료가 빈약하여 분석할 수가 없었다.

결론 : 금연 프로그램에서 흡연자에 대한 파트너 지지를 향상시키기 위해 고안된 중재 방법들이 금연을 증가시키지는 못했다. 몇 개의 무작위 대조군 임상실험 연구에서 얻어진 제한된 자료에 의하면 이런 중재 방법들이 배우자 지지 수준 자체도 향상시키지 못했다. 현재로서는 파트너 지지 중재가 흡연자의 금연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결론을 내릴 수 없다. 파트너 지지 중재가 기존의 금연 프로그램의 일부로 활용된다면 파트너 관계에 의미있게 영향을 줄 수 있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