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997;18(9):918-926.
Published online September 1, 1997.
Correlation of Somatotype Drawing and Anthropometric Values.
Yoo Seock Jeong, Eal Whan Park, Jong Myon Bae, Yun Lee
자기기입용 비만도 측정 설문도구와 신체지수와의 상관성
정유석, 박일환, 배종면, 이윤
단국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Abstract
Background
: The evaluation of obesity in practice has been done indirectly by antiro-pometric values such as body mass index(BMI), waist and hip circumferences and hip circumferences and waist-hip ratio(WHR). Somatotype drawing developed by Srensen has been evaluated as a simple instrument of obesity without real somatic measuring in several studies. This study was at-tempted to evaluated correlation between somatotype drawing and anthropometric values.

Methods : The subjects were measured anthroprmetric values such as height, weight, hip and waist circumferences. After calculating BMI and WHR, we evaluate correlation be-tween these values and somatotype drawing. And we tried to grouping of somatotype drawing with the means of anthropometric values.

Results :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24 subjects, whose BMI(kg/m²) and WHR were 22.81±2.96 and 0.86±0.07(mean±SD). Spearmen's correlation coefficients of somatotype drawing were 0.77 with BMI, 0.62 with waist circumference, 0.61 with weight and hip cir-cumference, 0.40 with WHR that remain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fter adjusting age, sex, education level, monthly income and job. And, the grades of somatotype drawing were grouped as 1, 2, 3-4, 5-6, ,7 by BMI and hip circumference, 1, 2-4, 5, 6, 7 by waisr circu-mference(ANOVA and Duncan's method).

Conclusion : Somatotype drawing has a good correlations with BMI, wight, waist and hip circumference. But it is not applicable to assess WHR because of its relatively lower correlation.
초록
연구배경 : 비만의 정도는 주로 체중과 신장의 계측을 통한 체질량지수, 허리 둘레, 엉덩이 둘레, 허리-둘레비와 같은 지수로 표현된다. Sorensen에 의하여 개발된 자기기입용 비만도 측정도구는 신체 계측이 불가능한 경우에 비만도를 표현하는 매우 효과적인 도구로 인정되고 있다. 본 연구는 자기기입용 비만도 측정도구와 임상에서 흔히 사용되는 신체지수들 간의 상관성을 보고자 시행되었다.

방법 : 대상자의 신체계측치로서 신장과 체중, 허리 둘레, 엉덩이 둘레를 측정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체질량지수와 허리-엉덩이 둘레비를 계산하여, 자기기입용 비만도 측정도구와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각각 신체지수들의 평균값에 의하여 자기측정도구의 각 등급을 Duncan 방법에 의하여 분류해 보았다.

결과 : 총 224명에 대한 자료가 모아졌고, 체질량지수(kg/m²)와 허리둘레비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각각 22.81±2.96, 0.84±0.07이었다. 자기기입용 비만도 측정도구와 신체 지수와의 스피어만 상관계수는 체질량지수와 0.77, 허리둘레와 0.62, 체중 및 엉덩이 둘레와는 0.61로 나왔고, 허리두레비와의 상관계수는 0.40으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왔다. 이들은 연령, 성별, 교육수준, 월수입, 직업 등을 보정하고도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자기기입용 비만도 측정도구의 각 등급은 체질량지수와 엉덩이 둘레의 평균치로는 1, 2, 3-4, 5-6, 7로 구분되었고, 허리 둘레의 평균치로는 1,2-4, 5, 6, 7로 구분되었다.

결론 : 자기기입용 비만도 측정도구는 체질량지수, 체중, 허리, 엉덩이 둘레와는 좋은 상관성을 보였으나, 허리-엉덩이 둘레비와의 상관성은 높지 않았다.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