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Acad Fam Med Search

CLOSE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8;29(6):424-430.
Published online June 10, 2008.
Relationship between Body Mass Index and Perception of Body Image in School-aged Children.
Kook Joo Lee, Nam Jun Park, Jun Su Kim, Yun Mi Song
1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eoul, Korea. yunmisong@skku.edu
2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Busan Paik Hospital, Inje University Medical School, Busan, Korea.
학령기 소아에서 관찰한 체질량지수에 따른 신체 이미지 인식
이국주,박남준,김준수,송윤미
1
2
Abstract
Background
Body image, a personal perception of the body shape, is known to influence motive to control body weight.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perception of body image according to the weight status in children.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442 Korean boys and girls enrolled in 2nd or 6th grade of a primary school. Heights and weights were measured by standardized method. Each child was asked to fill in a questionnaire asking about the factors which might be probably related to body image and to select a figure reflecting their current and ideal images among 7 drawings grading the extent of fatness. Weight status was classified using the age- and gender-specific cut-off points of the International Obesity Task Force based on the body mass index calculated. Chi-square test and multiple linear logistic regression test were performed. Results: Among the subjects, 17% of the children were overweight, and 4.3% were obese. Among the overweight or obesity group, the children who chose figures corresponding to fatty body image were 4% and 32%, respectively, and the children who wanted to be thinner were 27% and 47%, respectively. Only the previous trial for weight reduction was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body image distortion defined as being satisfied with current body image in overweight or obese children. Conclusion: Safe and systematic efforts providing children with adequate body image perception would be needed to prevent and manage the obesity problem, especially for overweight or obese children who think their body images as normal or who were satisfied with their current body images. (J Korean Acad Fam Med 2008;29:424-430)
Key Words: obesity, child, body image, body mass index, size perception
초록
연구배경: 한 개인이 자신의 체형에 대하여 가지고 있는 생각인 신체 이미지는 개인의 체중조절 동기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 장기적으로 체중을 조절해야 할 소아에서 비만도에 따른 신체 이미지 인식을 평가하는 것은 소아비만의 예방과 치료에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법: 서울 시내 한 초등학교의 2학년과 6학년에 재학중인 남, 여 소아 442명을 대상으로 키와 체중을 측정하고, 신체 이미지와 관련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요인과 소아용 체형 그림 중 현재 자신에 해당하는 체형과 원하는 체형을 묻는 자기기입식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참여 소아를 체질량지수에 근거한 국제 기준에 따라 정상체중군, 과체중군, 비만군의 세 군으로 분류하여 신체 이미지와의 연관성을 평가하였다. 체질량지수가 과체중이거나 비만인데 현재의 체형에 만족해하고 체중을 줄이기를 원하지 않는 소아를 신체 이미지 왜곡군으로 분류하여 카이제곱 검정과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관련 요인을 평가하였다. 결과: 연구 참여 소아 중 과체중은 17%, 비만은 4.3%였다. 과체중군이면서 현재 체형으로 비만한 체형을 선택한 소아는 4%, 비만군이면서 비만한 체형을 선택한 소아는 32%에 불과하였고, 과체중군에서는 27%, 비만군에서는 47%만이 날씬한 체형으로의 변화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과거의 체중 조절 경험이 없는 것이 과체중이거나 비만한 소아가 현재의 체형에 만족하면서 체중 조절 의지가 없는 것과 독립적인 연관성이 있었고(OR=7.59, 95%신뢰구간 1.99-28.98), 학년, 성별, 규칙적인 운동 참여 여부, TV시청 시간, 식욕, 비만에 대한 부모의 생각, 아버지나 어머니의 과체중이나 비만 여부는 유의한 연관성이 없었다. 결론: 비만함에도 불구하고 신체 이미지를 정상 체형으로 인식하고 있거나 체형의 변화를 원하지 않는 소아가 많아 이들에서 체형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갖게 하기 위한 안전하고 체계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중심 단어: 비만, 소아, 신체 이미지, 체질량지수, 체형 만족도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ll articles >

BROWSE ARTICLES
INFORMATION FOR AUTHORS AND REVIEWERS
Editorial Office
Room 2003, Gwanghwamun Officia, 92 Saemunan-ro, Jongno-gu, Seoul 03186, Korea
Tel: +82-2-3210-1537    Tax: +82-2-3210-1538    E-mail: kjfm@kafm.or.kr                

Copyright © 2024 by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