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tors Associated with Left Ventricular Hypertrophy on ECG in Middle-aged Normotensive Healthy Men. |
Ju Hye Chung, Chan Hee Song |
1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Uijeongbu St. Mary'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Uijeongbu, Korea. 2St. Mary'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Korea. chsong@catholic.ac.kr |
고혈압이 없는 중년 남성에서 심전도상의 좌심실 비대소견과 관련된 요인 |
정주혜,송찬희 |
1 2 |
|
|
Abstract |
Background This study was designed to elucidate which factors affected left ventricular hypertrophy (LVH) on ECG in middle-aged normotensive healthy men. Methods: A total of 436 normotensive office workers who visited the health examination center of St. Mary's Hospital of Catholic University in Korea from August 1 to October 30, 2002,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138 with LVH on ECG were grouped as LVH and 298 who showed no LVH on ECG were grouped as non-LVH. Questionnaires on history of smoking, drinking and exercise were filled out, and body fat, body mass index, blood pressure and biochemical markers were measured. Related factors with LVH on ECG were statistically analyzed with Chi-square test, t-test and logistic regression. Results: The mean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mean alcohol intake (g/day) were significantly elevated in the LVH group (P<0.005). The non-LVH group had a tendency to show increased pulse rate (P=0.058), a higher percentage of people who did not exercise at all, and a lower percentage of people who exercised regularly (P=0.056). The smoking history, BMI and other biochemical marker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P>0.1). O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odds ratio for LVH with increase in diastolic blood pressure (adjusted OR 1.048, 95% CI 1.019∼1.077), with exercise more than 3 times a week (adjusted OR 2.317, 95% CI 1.258∼4.269) and with increased alcohol intake (adjusted OR 1.010, 95% CI 1.001∼1.019). In contrast, odds ratio for LVH decreased as the pulse rate per minute increased (adjusted OR 0.974, 95% CI 0.952∼0.997). In detailed analysis comparing those who exercised regularly more than 3 times a week with those who exercised less than 3 times a week, the increase in diastolic blood pressure was a significant factor which increased the odds ratio for LVH in both group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odds ratio by mean alcohol intake per day was shown only in a group who exercised less than 3 times a week. Conclus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in normotensive middle-aged men with LVH on ECG, patients should be monitored for regular exercise and increase in diastolic blood pressure should be regarded as a risk factor for LVH on ECG irrespective of exercise. In those who do not do exercise regularly, diastolic blood pressure as well as alcohol intake should be evaluated as risk factors for LVH. (J Korean Acad Fam Med 2007;28:92-99) |
Key Words:
left ventricular hypertrophy, alcohol, exercise, diastolic blood pressure |
초록 |
연구배경: 건강 검진 시 실시한 심전도 검사에서 고혈압 없이 좌심실 비대소견을 보인 무증상의 중년 남성을 대상으로 고혈압이 동반되지 않은 경우 좌심실비대 소견과 관련된 요인이 무엇인지 밝혀 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2년 8월 1일부터 10월 30일까지 건강검진센터에 내원한 40세 이상의 직장인 남성 중 고혈압의 병력 및 치료약물 복용력이 없는 436명을 대상으로 심전도상 좌심실 비대유무로 138명의 좌심실 비대군과 298명의 대조군으로 나눠 흡연력, 음주력, 운동력을 설문지를 통해 알아보고 체지방률, 비만도, 혈압, 생화학지표 등을 측정한 후 Chi-square test 및 t-test,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좌심실 비대소견과 관련된 요인을 분석하였다.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좌심실 비대군에서 유의하게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이 높았으며 하루 평균 알코올 섭취량도 많았다(P<0.005). 좌심실 비대군에 비하여 대조군에서 분당 심박수가 높은 경향을 보였고(P=0.058), 운동을 전혀 하지 않는 비율이 높은 반면, 규칙적 운동을 하는 비율이 낮은 경향을 나타냈다(P=0.056). 이 외에 흡연력, 체질량지수, 기타 생화학적 지표들은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1).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이완기 혈압이 증가할수록 좌심실 비대증에 대한 교차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adjusted OR 1.048, 95% CI 1.019∼1.077), 주 3회 이상 운동을 하는 경우(adjusted OR 2.317, 95% CI 1.258∼4.269)와 하루 평균 알코올 섭취량이 증가하는 경우(adjusted OR 1.010, 95% CI 1.001∼1.019)도 좌심실 비대증에 대한 교차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대조적으로 분당 심박수는 증가할수록 좌심실 비대증에 대한 교차비가 감소하였다(adjusted OR 0.974, 95% CI 0.952∼0.997). 주 3회 이상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는 군과 하지 않는 군에 대한 세부 분석에서 이완기 혈압의 증가는 공통적으로 좌심실 비대증의 교차비를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요인이었으며(adjusted OR; 1.075, 95%CI; 1.023∼1.130/adjusted OR; 1.036, 95% CI; 1.003∼1.071), 하루 평균 알코올 섭취량의 증가는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지 않는 군에서만 좌심실 비대증의 교차비를 유의하게 증가시켰다(adjusted OR 1.010, 95% CI 1.001∼1.019). 결론: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고혈압을 동반하고 있지 않은 중년 남성에서 심전도상 좌심실 비대소견이 있는 경우 규칙적인 운동을 하고 있는지 여부를 살펴보아야 하며, 이완기 혈압의 상승은 규칙적인 운동여부와 상관없이 심전도 상 좌심실 비대증과 관련된 위험요인으로 간주할 수 있다.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지 않는 경우는 좌심실 비대증과 관련된 위험요인으로서 이완기 혈압뿐만 아니라 음주량에 대한 평가도 필요한 것으로 생각한다. |
중심 단어:
좌심실비대증, 음주, 운동, 이완기 혈압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