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AFM
  • Contact us
  • E-Submission
ABOUT
ARTICLE CATEGORY
BROWSE ARTICLES
AUTHOR INFORMATION

Articles

Review

Cinical Significance of Visceral Adipose Tissue.

Kil Young Kwon, Jee Hye Han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007;28(10):739-747.
Published online: October 10, 2007
anjhmd@paran.com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을지병원 가정의학교실
  • 1,449 Views
  • 35 Download
  • 0 Crossref
  • 0 Scopus
next

비만은 심혈관질환과 당뇨병 및 사망률을 증가시키는 건강 위험 요인이다. 최근 연구들에서는 비만인에서 체지방량보다 체지방 분포가 건강 위험과 더 관련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실제로 내장지방이 과다한 경우 심혈관질환, 대사증후군,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및 사망률과 관련이 있다. 내장지방은 해부학적 위치와 대사적 특징으로 심혈관질환 및 대사장애와 연관이 높다. 한국인은 서양인에 비해 체질량지수가 낮지만 심혈관질환과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이 높기 때문에 내장지방의 정도를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내장지방의 평가는 간단한 허리둘레측정이나 컴퓨터단층촬영 혹은 자기공명영상과 같은 정확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내장지방 감소를 위해서는 적절한 식사요법, 운동요법 그리고 경우에 따라 약물요법을 사용할 수 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