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pression and Anxiety Trend according to Family Function in Children. |
Joon Chul Park, Youn Seon Choi, Woo Kyung Lee, Su Hyun Kim, Jeong A Kim, Myung Ho Hong |
Department of Family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younseon@korea.ac.kr |
소아에서 가족기능에 따른 우울 및 불안 성향 |
박준철,최윤선,이우경,김수현,김정아,홍명호 |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
|
|
Abstract |
Background : Family environment has an important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 During childhood and adolescence, depression and anxiety are common forms of psychopathology. Therefore,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function and depression·anxiety in children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is research was intended to aid management of children in the field of primary care.
Methods : This study was based on the survey administered to 193, 4th grade students of two elementary schools in the area of Sung-buk in Seoul, Korea, in May, 2003. We investigated family function, depression and anxiety by self-rating using the Smilkstein's Family APGAR, the Kovacs's CDI and the Reynolds's RCMAS. At the same time, home environment characteristics (Family Structure, Parental Religion, Parental Education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were investigated.
Results :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home environment characteristics between Family APGAR groups (P>0.05). CDI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children whose parents had education levels of middle school or lower (P<0.05).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CMAS scores between home environment characteristics (P>0.05). CDI scor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Family APGAR groups (P <0.05). And, RCMAS score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oor family function groups than good family function groups according to Family APGAR groups (P<0.01). Both CDI and RCMAS score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Family APGAR scores (r=-0.376, P<0.01) (r=-0.266, P<0.01) and CDI scor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RCMAS scores (r=0.711, P<0.01).
Conclusion : In groups where the Family APGAR score was lower, both CDI and RCMAS scores were significantly lower. Accordingly, when caring for children, family physicians should need to their family function and know that it has an effect on children's emotions. |
Key Words:
child, family function, depression, anxiety |
초록 |
연구배경 : 가정은 소아의 발달 과정에 있어 가장 중요한 영향을 주는 환경이고 우울과 불안은 소아 및 청소년기에 경험할 수 있는 가장 흔한 정신 문제이다. 이에 소아를 대상으로 가족기능 및 가정의 환경적 특성과 우울, 불안 성향과의 관계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일차의료에서의 소아 진료에 있어 가족중심의 접근방법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방법 : 2003년 5월 서울 시내 2개 초등학교 4학년 학생 193명을 대상으로 가족기능지수(Family APGAR), 소아우울척도(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소아불안척도(Revised Children's Manifest Anxiety Scale)를 이용해 자기기입식으로 가족기능 및 우울, 불안 성향에 대해 조사하였고 이와 함께 가정환경 특성, 즉 가족구조, 부모의 종교 유무와 학력, 가계 월소득의 조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 가족기능지수의 세 군 간(중증 가족기능장애, 중등도 가족기능장애, 건강한 기능군) 가정환경 특성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항목은 없었다(P>0.05). 소아우울척도는 가정환경 특성 중, 부모의 교육수준과 관련해 중졸 이하 군에서 더 높은 수치를 보였으나(P<0.05), 소아불안척도에서는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는 항목은 없었다(P>0.05). 가족기능지수의 세 군 간 비교에서 소아우울척도는 각 군별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5), 소아불안척도에 있어 중증 가족기능장애군과 건강한 가족기능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또한, 상관분석에서 가족기능지수가 높을수록 소아우울, 불안척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r=-0.376, P<0.01, r=-0.266, P<0.01). 소아우울, 불안척도 간에는 높은 상관성을 나타냈다(r=0.711, P<0.01).
결론 : 가족기능이 좋을수록 소아우울, 불안 정도가 유의하게 낮았다. 따라서 가정의는 소아의 진료에 있어 가족기능에 관심을 가져야하며 가족기능이 소아의 정서적 문제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진료에 임해야 하겠다. |
중심 단어:
소아, 가족기능, 우울, 불안 |
|